매일신문

경북도청 이전지 8일 발표…어떻게 추진해왔나?

1990년대 지역끼리 갈등심화로 유보…도민 숙원 마침표 찍나

대구경북 지역민들로부터 초미의 관심을 끌고 있는 경북도청 이전 예정지 선정이 8일 마침내 매듭을 짓는다. 대구시내에 위치한 도청의 이전은 경북도민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새 경북 발전의 백년대계를 마련하기 위한 숙원 사업으로, 1981년 7월 대구와 경북이 광역자치단체로 분리된 이후 줄곧 문제가 됐다.

도청 이전이 공식적으로 현안이 된 것은 1991년 제4대 도의회가 출범하면서부터다. 도의회는 여러 논의 끝에 1994년 3월 도청소재지 후보지 선정 용역을 실시했다. 그러나 다음해인 1995년 3월 후보지선정 용역 보고서에 대한 불신결의안이 제출되는 등 문제가 발생했다. 도의회는 같은 해 5월 용역 결과에 따라 안동과 구미, 의성, 경주, 포항+영천 등 6개 지역을 후보지로 선정한 수정안을 의결했지만 지역 간 갈등이 심해지자 후보지 선정 표결을 하지 않은 채 이를 집행부에 넘겨 버렸다.

이어 1999년 12월에는 도청소재지 선정 추진위원회 조례안이 추진됐으나 유보 결정이 났고 한동안 이 문제는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지지부진하던 도청 이전 문제는 2006년 김관용 도지사가 민선 4기 경북도정을 맡으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김 지사는 선거 공약에 따라 2006년 12월 도청이전 조례안을 마련했고, 이에 맞춰 도의회도 2007년 2월 조례안을 만장일치로 의결, 법적 제도적 근거를 갖췄다.

도는 2007년 4월에는 도청이전 특별법 제정을 위해 충남도와 공조 협약을 체결했으며, 9월에는 '도청이전을 위한 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안'이 국회의원 34명의 공동발의로 국회에 제출됐다.

또 2007년 4월에는 이전을 실질적으로 주도할 민간 중심의 심의 의결기구인 '도청 이전 추진위원회'가 발족됐다. 추진위는 당연직 위원 6명과 위촉직 위원 11명 등 17명의 위원으로 구성됐으며, 위원장은 이규방 한국토지공사 상임고문이 맡았다. 5월에는 도내 23개 시장·군수 및 시·군의회 의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전의 공정한 추진과 페어플레이를 다짐하는 협약을 체결했고, 국토연구원과 대구경북연구원에 공동으로 '이전 예정지 선정 등을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6월에는 도청이전 홈페이지를 개설했으며, 9월에는 도청이전 추진위원회 정책결정 자문기구인 자문위원회를 구성, 송승달 경북대 명예교수를 위원장으로 선임했다.

도청 이전 작업은 경북도민들의 강한 열의가 반영되면서 2008년 들어 더욱 속도를 냈다. 추진위는 국토연구원과 대구경북연구원이 마련한 '도청소재도시 기본구상안'과 '입지 기준 및 평가기준'을 바탕으로 1월 28~31일 4일간 도내 4개 지역을 돌며 입지기준 마련을 위한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이어 2월 22일에는 계획인구 10만명 이상, 전체면적 12㎢ 이상을 골자로 하는 입지기준을 확정했다.

2월 26일에는 희소식이 날아들었다. '도청이전을 위한 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된 것이다. 3월 28일 공포된 이 법안은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된다.

4월 14, 15일에는 동부와 서부권으로 나눠 평가기준 마련을 위한 주민공청회를 열어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했고, 4월 18일 ▷균형성 ▷성장성 ▷접근성 ▷친환경성 ▷경제성 등 5개 기본 항목과 14개 세부항목으로 된 도청이전 예정지 선정을 위한 평가기준을 확정했다.

이어 4월 28일부터 5월 15일까지 23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후보지를 공모한 결과 포항·경주·김천·구미·영주·영천·상주시, 칠곡·군위·의성군, 안동시-예천군(공동) 등 11곳(12개 지자체)이 경쟁에 뛰어들었다. 이들 후보지는 모두 입지기준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아 5월 23일 평가 대상지로 확정돼 지난 4일부터 83명으로 구성된 평가위원들로부터 운명의 평가를 받고 있다.

김교성기자 kgs@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