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업체들이 7일부터 대구시의 처리시설 확충에 반발, 음식물쓰레기 위탁처리를 중단한 가운데 대구시와 업체 간의 팽팽한 줄다리기가 계속돼 음식물 쓰레기 대란이 장기화할 전망이다.
대구시는 9일 업체대표들과의 협상을 통해 사태 조기진화에 나섰지만 시와 업체 간 의견차가 커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음식물쓰레기의 임시 보관 한계와 처리 지연에 따른 악취 등으로 주민 불편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대구 음식물 쓰레기의 80%가량을 처리하는 한국음식물폐기물 자원화협회 영남권협의회 회원사들은 9일 반입 중단을 계속해 사태가 3일째를 맞았다. 업체 관계자는 "대구시가 민간업체와의 해결은커녕 당장 쓰레기 대란을 모면하기 위해 허가용량 30t에 불과한 업체에 150t 이상의 처리를 종용하는 불법을 자행하고 있다"며 "업체들의 생존이 걸린 문제인 만큼 반입중단을 계속할 것"이라고 했다.
대구시는 장기화에 대비해 신천하수병합처리장의 공공처리시설을 24시간 가동해 하루 150t 처리물량을 최대 400t으로 늘려 처리하고 있다. 또 성서소각장에서 100t을 소각처리해 500t가량을 처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는 하루 대구의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 680t 중 70% 이상을 공공시설에서 처리하고 나머지 물량은 달성군 방천리에 있는 위생매립장에 임시 보관하거나 처리중단에 참여하지 않은 업체들에게 맡기고 있다.
시 관계자는 "공공 처리시설의 확충이 필요한 만큼 업체들의 백지화 요구는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시민들에게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 줄이기를 당부하는 전단을 배포하고 방송하는 등 홍보에 나서고 있다"고 했다.
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