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있을 이명박 정부의 대대적 인적 쇄신을 앞두고 영남 출신 인사를 배제하려는 움직임이 설치는 모양이다. 오늘의 국정 난조가 영남 출신을 많이 써서 탈이 났다는 얘기인데 이게 말 같은 소리인가. 이 정부가 신뢰를 잃은 데는 이른바 '고'소'영' '강부자'라고 조롱받는 인사 실패가 한몫한 것은 맞다. 하지만 그런 비아냥에는 대통령이 무신경하게 사적 인연을 중시한 탓이 크면 컸지 영남권 인사를 특별히 챙겨서라고는 보기 어렵다. 이참에 정치적으로 한 수 보려는 음모와 악취가 풍겨나는 헛소리들이다.
현재 국무위원 15명 중 대구 경북 출신은 20%인 3명에 지나지 않는다. 부산 경남까지 포함했을 때 영남 출신이 40% 정도다. 단순히 보면 지역 간 불균형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김영삼'김대중'노무현 정권 15년을 돌아보고, 굳이 인구 분포를 따져보면 '영남 편중'의 설득력은 떨어진다. 지난날 정권들이 대구 경북 출신을 홀대했다는 것은 세상이 아는 사실이다. 노무현 정권이 초대내각에서 영남 6, 호남 5명 식으로 안배를 했다지만 부산 경남이 주를 이뤘을 뿐이다. 현재 거주지 인구비율만 해도 영남은 호남의 2.5배다. 전국적 인구분포를 따져도 영남 출신은 호남의 1.5배에 달한다.
이런데도 특히 지난 10년 동안 중앙 부처에서 대구 경북은 씨가 말랐다. 김대중 정권은 과거 10%대 초반이던 호남 출신 고위직들을 30% 가까이 끌어올렸으며 노 정권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 바람에 대구 경북 출신은 부처마다 변변한 과장 자리 하나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런 사정을 조금이라도 살핀다면 오히려 지역 균형 인사를 들고 나와야 할 판이다.
어느 지역을 빼고 말고 하는 얘기가 나온다는 자체가 세상의 웃음거리다. 모든 공직 인사의 기준은 능력과 도덕성이 우선이다. 한국의 특수한 풍토를 감안하더라도 지역적 안배는 그 다음에 고려할 점이다. 영남을 배제한다는 발상은 한 지역을 편애하는 것만큼이나 어리석은 일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