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지방 공기업도 개혁의지 보여라

대구도시공사, 지하철공사, 시설관리공단, 환경시설공단 등 대구의 대표적인 공기업들이 혁신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들 공기업의 주요 임원 자리가 여전히 퇴직공무원의 잔칫상이 되고 일부 공기업은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직원에 대한 징계조차 소홀하다. 조직의 생산성은 떨어지고, 방만 경영으로 이어지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대구시의회 '대구시 공사'공단 출자'출연기관 실태조사 위원회'가 4개 공기업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여 대구시와 산하 공기업에 대해 일침을 놨다. 대구시 산하 4개 공기업의 전문경영인을 조사해 봤더니 9명 가운데 대구도시공사 사장을 제외한 8명이 모두 대구시 고위공직자 출신이더라는 것이다. 이는 대구시가 그동안 공기업 사장 공모제 등을 실시해 왔으나 형식에 그쳤을 뿐이란 사실을 보여준다. 시중에는 공기업 사장 자리 등이 빌 경우 이미 수개월 전부터 특정인 인사설이 나돌고 막상 결과를 보면 이 같은 설은 사실로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유능한 고위 공무원들이 퇴직 후에도 민간 기업으로 자리를 옮겨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면 굳이 이를 마다할 이유가 없다. 하지만 대구지역 공기업 가운데 상당수는 적자 경영으로 시민 세금에 의존하고 있다. 지하철 공사의 만성적자는 말할 것도 없고 시설관리공단의 적자 누적 문제도 심각하다.

맹목적 제 식구 감싸기도 문제다. 대구도시공사는 2005년 아파트 특혜분양을 한 혐의로 입건된 전'현직 직원 23명에 대해 인사 이동시키는 수준에서 징계를 마무리했다고 한다. 그렇다 보니 도시공사는 직원 140명 중 4급 이상이 87명에 달한다. 이 같은 태도로는 반복적인 불법행위를 예방할 수 없다. 시민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도 어림없는 일이다. 지방 공기업도 끊임없는 개혁에 나서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