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 정동창(49) 미래생활섬유과장은 마치 대구시 섬유패션팀 공무원 같았다. 인터뷰를 온통 대구 섬유에 관한 이야기로만 채웠기 때문이다.
"세계 패션 시장이 무려 1천200조원입니다. 세계 시장에서 대구의 잠식력은 0.4%에 불과합니다. 대구가 섬유를 포기하는 순간 방대한 시장도 날아가 버리고 맙니다". 정 과장의 인터뷰 서두의 말은 충격적(?)이었다. 섬유·패션 시장이 이렇게까지 큰지 몰랐다. 세계 시장의 절반을 석권할 경우 대구시는 향후 6백년을 먹고 살 수 있을 것 아닌가.
정 과장은 "대구는 이미 국내 섬유 사업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면서 "원사·직물·봉제 공정을 할 수 있는 국내 몇 안 되는 도시이고, 특히 섬유개발연구소 등 연구 개발력도 상당한 수준"이라고 추켜세웠다. 대구가 1천200조원 시장의 첨병 역할을 하라는 격려다.
도태 산업, 사양 산업으로 낙인된 섬유지만 정 과장은 섬유의 미래에 대한 확신으로 가득했다. "앞으로 섬유산업의 키 포인트는 연구 개발"이라고 말했다. "최근 지역에서 칼로 찢어지지 않을 만큼 강한 원사(수퍼 섬유)를 개발했는데 앞으로 군용·산업용 등 쓰일 데가 많을 것입니다. 바로 이런 것이 돈이 되는 겁니다. 이런 것을 매년 두 세개만 만든다고 하면 5년 내 대구의 먹고 사는 문제는 반드시 해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 과장에 따르면 최근 해외에서 심전도까지 체크 할 수 있는 원사가 개발됐다고 한다. 이 업체가 돈 방석에 앉는 일은 시간 문제라는 말도 빼먹지 않았다.
"실패한 산업 아니냐?"는 거듭된 질문엔 "과거엔 하드웨어(공장) 짓는 데만 돈을 투입했고, 연구 개발은 거들떠 보지 않았습니다. 또 대량 생산만 주력했던 터라 소량·다품종 생산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취향에도 맞지 않았습니다. 이제 원사 개발은 물론이고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제품의 스피디한 생산력을 갖춘다면 경쟁력 있는 브랜드도 만들어 내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합니다"고 했다.
행시 34회인 정 과장은 중기청을 거쳐 산자부 유통·산업을 담당했다. 고향 영덕에서 일찍이 대구로 나와 대륜고를 졸업했고 김형렬 수성구청장과 동기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