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독자위원석] 또 한해 생일을 보낸 매일신문에게

매일신문이 얼마 전 창간 62주년을 맞았다. 늦게나마 축하의 인사를 전한다. 매일신문은 지역 공동체와 사회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 특히 지역균형발전, 수도권 규제완화 반대에 관한 지역민들의 의지를 모아 꾸준히 보도했고 이런 노력이 성과를 낳기도 했다. 정부 내에서 혁신도시 재검토가 논의되자 수차례에 걸쳐 강한 어조의 사설을 통하여 새 정부의 지방정책 '후퇴'에 질책을 가한 점은 평가할 만하다.

무엇보다 매일신문이 일간신문으로는 보기 드물게 무려 5년 7개월 동안이나 소외된 이웃들에 관한 기사를 연재한 것에 대하여는 큰 박수를 보낸다. '이웃사랑' 시리즈는 풍요의 이 시대에 아직도 극단적인 경제적 어려움에 무방비로 처해 있는 이웃이 있다는 아픈 현실을 감동적으로 일깨워주었다. 이 시리즈가 계속되어 온 데에서 지역민에게 더 가까이, 그리고 가장 낮은 곳까지 다가가려는 매일신문의 노력을 읽을 수 있었다.

그럼에도 다소 아쉬운 점이 없지 않다. 우선, 일부 사설과 칼럼에서 지나친 정치, 사회적 편향성이 드러난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물론 지역의 정서적 특수성과 독자들의 정치적 성향을 무시할 수는 없을 게다. 그리고 매일신문 스스로의 자기 색깔도 존중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언론 본연의 가장 기본적인 덕목인 객관적이고 균형잡힌 시각에서 지나치게 벗어난 논조를 접할 때는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가까운 예로, 그 많은 사람들이 거리에 나와 촛불을 들었을 때 매일신문은 그들의 진정성과 촛불의 긍정적 의미를 보도하는 데 지나치게 인색했다.

정부기관이나 공기업의 인사에 관한 기사에서 인물의 전문성, 도덕성, 업무적합성 등 기본적 평가 기준을 외면한 채 이 지역 출신 인물인가 아닌가의 잣대로 접근하는 것은 지역 이기주의로 비칠 수 있다.

경제관련 보도에 있어서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매일신문은 지방아파트의 미분양을 지방경기 침체의 주요 원인으로 진단하고 정부에 대하여 수차례 그 대책을 주문했다. 그런데 매일이 요구하는 대책이라는 것이 망국적인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막고자 시행되었고 일정 정도 성과를 내고 있는 부동산규제정책을 폐지, 또는 완화하자는 내용임을 알게 되면 실망스럽다. 지역의 미분양아파트 문제가 심각하다는 데 동의하더라도 그 대책의 수혜자가 누가 될지 의문이고, 그로 인해 또다시 투기세력에 의한 집값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시장원리를 무시한 채 평당 분양가 천만원이 훌쩍 넘는 비싼 아파트를 대량으로 분양한 건설사의 책임을 지적하는 데 소홀하고 그 결과로서의 미분양만을 따로 떼어내 지나치게 강조한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반면 서민생활과 직결되는 가스, 전기 등 공공요금인상 발표에 대해 비판적 시각으로 접근하는 기사는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균형잡힌 시각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또 하나, 언론의 독립을 지키는 데 매일신문이 함께하기를 바란다. 이명박 정부는 최근 대통령선거 당시 특보로 활동했던 인사를 뉴스전문채널인 YTN의 사장으로 임명했다. 청와대의 한 수석은 "KBS사장은 새 정부의 국정철학과 기조를 적극 구현하려는 의지가 있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주장하기도 했다. 언론계는 이런 일련의 상황을 새 정부의 언론장악 시도로 해석하고 강력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매일신문 지면에서 새 정부의 무리한 언론정책에 대해 날카롭게 지적하는 기사를 찾기 어렵다. 2년 전 사설에서 꾸짖었듯이 '어느 권력도 KBS에 눈독들이지 말라'는 추상같은 독립언론의 의지를 다시 한번 지면에서 볼 수 있기를 희망한다.

매일신문이 '우리 사회의 중심을 굳건히 잡는 언론의 사명을 다할 것'(2008. 7. 7. 창간일자 사설)임을 기대하고 또 믿는다.

송해익(변호사, 대구지방변호사회 인권위원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