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시장이란 유가증권(주로 주식과 채권)이 거래되는 경제·사회 관계를 총칭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두 가지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먼저 넓은 의미에서의 증권시장은 기업을 비롯한 자금을 필요로 하는 수요자가 유가증권을 발행하거나 매출을 통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자는 유가증권의 매입이나 매각을 통해 자신의 금융자산을 운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즉 유가증권을 매개로 해 발행 주체와 증권회사, 투자자 사이에서 유가증권과 자금의 수급관계가 이뤄지는 곳을 말하며 이것은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의 시장이라 할 수 있다. 좁은 의미에서의 증권시장은 다수의 매매 쌍방이 일정한 시간과 장소에 집결해 일정한 조직과 거래 질서 아래에서 증권을 매매 거래하는 조직적이고 구체적인 시장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증권선물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이 이에 해당된다.
기업이 주식이나 채권 등을 통해 조달한 자금은 기업의 설비투자 등에 투입되므로 회수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는 반면, 일반 투자자가 기업에 제공한 자금은 그 투자자가 필요로 할 때는 언제든지 회수할 수 있는 상반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상호 상반된 조건에 따라 증권시장은 일반적으로 기업이 유가증권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고 일반이 자금을 제공해 해당 유가증권을 취득하는 발행시장과 투자자가 취득한 유가증권을 현금화할 수 있는 유통시장으로 구성된다.
발행시장에서 발행된 유가증권이 유통시장에서 증권선물거래소의 상장을 통해 거래를 할 수 있어야만 유가증권을 취득한 최초의 투자자는 투자 자금의 회수가 가능하고 발행주체도 계속 유가증권을 원활히 발행할 수 있다. 투자자가 취득한 유가증권을 매매할 수 있는 유통시장은 증권선물거래소에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으로 구분된다.
그럼, 증권시장의 경제적 기능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자. 기업의 측면에서 증권시장은 증권 발행이라는 수단을 통해 대중의 영세 유휴자금을 모집·흡수하고 이것을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산업자금으로 조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증권시장은 기업에 대해 자금조달원이 됨과 동시에 유동성 자금을 산업자본화함으로써 시설투자확대 및 기업의 체질강화, 국제경쟁력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한다.
개인의 투자성향은 경제·사회가 안정되고 소득이 점차 증대됨에 따라 실물자산보다는 금융자산을 선호하게 되고, 금융자산에 대한 투자 가운데서도 직접투자를 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일반 대중에 대해 증권시장은 저축이나 자산의 운용을 위한 다양한 투자대상을 제공하게 된다.
사회적 측면에서 증권시장은 주식의 분산에 의해 소득의 재분배를 구현하는 정책수단이 되고 있다. 현대 자본주의 국가는 주식의 분산을 통해 대중자본주의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증권시장은 기업공개 및 주식지분의 분산을 촉진함으로써 대중의 자본소득 증대를 통한 국민복지 향상과 사회안정, 그리고 중산층 육성이라는 사회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증권시장에서 형성되는 주가는 기업의 수익성을 반영하므로 주가변동에 따라 투자자금이 생산성(수익성)이 낮은 기업에서 생산성이 높은 기업으로 이동하게 돼 자금의 효율적인 배분을 촉진하게 되고 정부 또한 증권시장을 통해 재정증권의 발행과 상환으로 적자 또는 흑자재정을 운용해 재정정책의 보완적인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정상만(대구은행 황금PB센터 PB실장)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