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생계비의 현실화는 불가능한가요."
장애인 박모(43·여·달서구 신당동)씨는 요즘 먹는 것까지 줄여가며 하루하루를 근근이 버텨가고 있다. 정부로부터 생계비와 장애수당을 합쳐 매달 받는 돈은 96만원. 그러나 중학교 1학년과 초등학교 4학년인 두 아이와 함께 살아가기엔 빠듯한 살림이다.
7월 박씨의 가계부. 월세 5만원과 통신비 6만원, 공과금 10만원, 의료비 15만원. 식비 20만원, 여기에다 두 아이의 학원비로 40만원을 지출했다. 정확하게 96만원을 썼다. 가계부에는 저축·보험, 문화생활비, 옷값 등의 난도 있지만 빈공간으로 남겨져 있었다.
박씨는 "식비조차도 콩나물, 두부 등 싼것만 골라 끼니를 때우는 실정이지만 가난을 대물림하고 싶지 않아 학원비까지 줄이지는 못하고 있다"며 "정부의 지원금이 조금만 더 나와도 살기가 훨씬 수월할 것"이라고 했다.
현실과 동떨어진 최저생계비로 극빈층의 삶이 무너져내리고 있다. 부족한 정부지원금에다 올 들어서는 물가까지 천정부지로 치솟아 기초생활수급자와 장애인 등 최빈곤층은 삶을 버텨가기도 힘든 상황.
최저생계비는 기초생활보장뿐만 아니라 장애수당, 모자·부자가정지원, 보육료감면, 자활사업, 의료급여 등 거의 모든 복지정책의 선정기준으로 활용되는 지표다.
오는 9월 발표될 2009년 최저생계비의 인상폭은 3%선. 지난해 7월부터 1년 동안의 생활물가지수 증가율이 무려 7.13%에 달했고 심지어는 체감물가상승률이 20%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지만, 최저생계비 인상은 현실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3년마다 실시되는 최저생계비 계측이 지난해 이미 이뤄졌으며, 올해는 그 금액에다 3%만을 인상해 지급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기초생활수급자인 이모(43·경북 김천)씨는 벌써부터 올 겨울을 버틸 일에 걱정이 앞선다. 5명의 아이를 데리고 사는 이씨는 "난방비로 월 25만원가량을 사용했는데 유가가 엄청나게 오르지 않느냐"며 "생계비 지원액이 몇만원 늘어나는 걸로는 턱없이 부족하고, 생활비는 더 이상 줄일 여지가 없으니 올 겨울을 생각하니 그저 막막할 뿐"이라고 했다.
최저생계비가 현실과 동떨어져 인상폭을 늘려야한다는 주장은 이미 여러 차례 제기됐으나 유야무야됐다. 지난해 최저생계비는 4인 근로자가구 평균소득 대비 30%선까지 뚝 떨어져 빈곤을 악화시키고 있다.
1988년 4인 근로자가구 평균소득의 45% 수준이었던 최저생계비는 매년 갈수록 떨어져 2004년 31.9%, 2008년에는 30.8%까지 하락했다. 이는 세계은행이 제시하는 '상대빈곤선'인 평균소득 50%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으로, 우리나라 경제수준에 못 미친다.
빈곤사회연대 최예륜 사무국장은 "예산을 정해놓고 여기에다 짜맞추기 식으로 인상폭을 결정하다 보니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이 겉돌고 있다"며 "3년에 한번씩 최저생계비를 정하는 현행 방식과는 달리 국민 평균 소득의 40% 이하를 극빈층으로 정하는 상대빈곤선 방식을 도입해 지원액과 범위를 넓히는 것이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한윤조기자 cgdrea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