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비전에 맞춰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특히 강점을 갖고 있는 대구경북이 이 분야 대형 프로젝트를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해 대구경북이 '저탄소 녹색도시'라는 이미지와 시장을 확실히 선점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대구경북에는 구미권, 대구권, 포항권을 중심으로 태양광, 연료전지, 원자력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생산시설과 R&D 기관이 국내 어느 곳보다 다양하게 포진해 있다. 또 포스텍, 경북대를 중심으로 전문인력도 풍부해 소재에서부터 중간재, 플랜트까지 일괄 생산라인 구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대구시, 경북도, 학계 등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의 대구경북 핵심 성장동력화 작업에 가속도를 내자는 움직임이 많다.
관계기사 3면
대구경북연구원과 학계 전문가들은 두달 전부터 신재생에너지분야와 대구경북을 연계한 마스터플랜 작성에 들어가 조만간 계획을 확정한 뒤 국가정책으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또 경산의 한 대학과 영천시는 133만㎡(40여만평) 규모로 그린IT(정보기술), 그린BT(생명공학)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과 R&D 기관을 집적시키는 가칭 '그린융합밸리(Green Fusion Valley)'를 조성하기 위해 세부계획을 다듬고 있다.
에너지분야 전문인력 확보를 위해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GIST)은 신설될 교육기능에 에너지 및 뇌과학 분야 중심의 석·박사 연구과정을 개설키로 했다.
다양한 구상들을 정책화하는 추진체로 대구경북에너지포럼도 26일 발족한다. 대경에너지포럼은 대구시장, 경북도지사, 경북대·포스텍 총장, 에너지 분야 전문가인 허증수·김종달 경북대 교수 등 학계와 지역 산업정책 전문가 50여명이 발기인으로 참여한다. 포럼은 시·도 간 역할분담 등 마스터플랜을 조율하고 중앙정부와의 교섭창구역할도 한다는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 마스터플랜을 연구중인 영남대 이재훈 교수는 "농업혁명, 산업혁명, 정보혁명에 이어 앞으로는 그린혁명의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며 "대구경북이 저탄소, 수소에너지나 신재생에너지 분야 기업과 연구인프라 강점을 활용한 대형 프로젝트를 만들어 국내 그린혁명을 주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