慶州(경주)시립화장장 확장 이전 사업의 成敗(성패)에 전국의 이목이 쏠렸다. 수많은 지역이 속앓이하는 공통의 걱정거리인 때문이다. 埋葬(매장) 대신 火葬(화장)을 택하는 경우가 급증하나 그 시설은 늘리기 힘든 게 원인이다. 경주가 그런 벽을 뚫어낸다면 전국적인 성공 모델이 될 참인 것이다.
이번 사업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경주시청이 새로운 접근 방식을 택하면서부터였다. 땅 주인에게 이익을 보장하고 일대 面(면) 단위에는 30억 원가량의 인센티브를 주겠다며 유치를 경합시킨 게 그것이다. 더 큰 기피시설인 방사성폐기물처리장을 市(시) 차원에서 유치한 경험과 자신감이 바탕된 듯했다. 마침 하남시가 수천억 원대의 인센티브를 제시하고도 유사 사업에 실패한 마당이었다.
하지만 화장장 건립은 역시 쉽잖은 일임이 다시 한번 증명됐다. 무려 12개 지구가 유치 신청을 하고 어제 한 곳이 건립예정지로 낙점됐으나 그게 모든 문제의 끝은 아니었던 것이다. 경주시청이 유치신청자를 마을 단위로 하지 않고 땅 소유자 개인으로 한 게 한계였다. 때문에 지난 4월 신청 마감 이후 곳곳에서 주민 반대 시위가 벌어졌고, 어제 입지 결정 후에는 더 격해졌다.
전국 각 지역이 정말 예민하게 주목할 것은 말할 필요 없이 지금부터의 추이다. 放廢場(방폐장) 건에서는 주민 동의를 먼저 받아 유치에 나섰지만 이번엔 입지 결정 이후 주민 동의를 구해 나가겠다는 것이니 그 성패에 더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주민들이라고 해서 화장장을 무조건 기피해 좋다고는 할 수 없을지라도, 경주시청 또한 그들의 마음을 짓밟고 앞으로 나아가려고만 해서도 될 일이 아니다. 양측 모두가 승자 되는 길이 찾아질 수 있을지 전국이 지켜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