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들 '경제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고 외치는 시점에서 '웬 창작문화'라는 이들이 많으리라 생각한다. 문화라는 것이 마치 예쁜 꽃과 같아서 그저 물주고 가꾸고 즉 다시 말해 우리의 수고만을 필요로 할 뿐이라는 생각이 아직은 지배적인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오늘은 조금 다른 관점에서 이야기 해 보려 한다.
경남 하동의 최참판 댁을 다녀온 적이 있다. 이곳은 얼마 전 타계한 박경리 선생의 책'토지'를 바탕으로 드라마의 제작을 위해 지어진 셋트장 인데 어린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으로 하동군의 주요 문화상품 중 하나로 꼽힌다.
소설속의 두 주인공 캐릭터 앞에서 사진을 찍어대는 젊은 남녀들 사이에서, 전국 문인들의 문학축제인 토지문학제가 이곳에서 개최된다는 동행인의 이야기를 듣던 나는 문학작품 하나가 이 마을을 얼마나 생기 있고 의미 있는 곳으로 만들어주고 있는지를 새삼 느낄 수가 있었다.
문화란 사회구성원에 의하여 습득, 공유, 전달되는 행동양식이나 생활양식의 과정 및 그 과정에서 이룩하여 낸 물질적 정신적 소득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써 의식주를 비롯하여 언어, 풍습, 종교, 학문, 예술, 제도 따위를 모두 포함한다. 즉 문화는 하나의 사회가 얼마나 진보했는지를 판단하는 척도가 된다.
인간이 동물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빠른 속도로 진보할 수 있었던 이유는 생각하고 그 생각을 언어를 통해 기록, 전달 그리고 학습함으로써 그것을 같은 세대와 후 세대에 전할 수 있었다는 데 있다. 즉, 각 세대마다 새로 첨가되어 축적되는 정보가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창조적인 인간의 사고와 행동으로 인해서만 가능하다.
유럽을 돌아보면 로마는 그 찬란한 문화유적을 통해 이천년이 지난 오늘도 세계 도처에서 관광객 인파를 끌어 모으고 있으며, 불과 35년도 채 살지 못했던 모짜르트의 작품들이 오늘날, 아니 오늘날까지 지구상에서 창출해 낸 부가가치는 가히 천문학적인 액수에 이르고도 남음이 있다.
영국의 경우, 심지어 어느 시나리오 작가 혹은 영화소품 제작자의 작은 아이디어에서 출발했음이 분명한, 영화 '007' 에 사용된 신무기나 소품들은 결국 얼마 지나지 않아 실제로 생산되어진다고 하지 않는가? 따라서 작가의 작은 상상력 하나가 과학자나 기술자의 손을 거쳐 상업화 되면서 그 파급 효과는 상상을 초월할 지경이다.
지난 해 서울 문화예술위원회에서 몇 차례 지원금에 대한 심의를 한 적이 있다. 창작품을 우선순위에 두고 그 중에서도 초연되어지는 작품들에 특별히 가산점을 주도록 주장했으며, 그 후 우리 지역작품을 심사하면서도 이러한 의견을 관철했던 적이 있다. 그것은 한 시대와 지역을 더욱 풍요롭게 만드는 원동력이 결국은 창의적인 사고와 그 결과인 창작품에서 나온다는 신념 때문이었다.
노무현 정부가 여러 가지 면에서 실정을 한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지방에서는 그러한 문예지원금을 신청조차 할 수 없었거니와 설령 할 수 있었다 해도 심의위원들조차 지방에 대해서는 별다른 배려가 없었던 점을 생각해 볼 때에 지역 문화예술계에서 자체적으로 창작사업을 지원, 관리할 수 있도록 했던 그의 지방분권 정책에만은 지금도 찬사를 보내고 싶다.
작은 바닷가 도시 통영, 그곳에 오늘날 세계적인 음악제가 열리고 해마다 전 세계의 젊은 음악인들이 몰려들게 한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작곡가 윤이상 선생. 생전 그가 70회 생일파티에서 직접 들려 준 잊을 수 없는 일화가 있다.
한번은 선생이 독일 어느 지방에서 작품 발표를 마치고 나오는데 기다리고 있던 한 노인이 약간의 망설임 끝에 선물을 하나 건네주더란다. 호텔로 돌아와 그것을 풀어본 선생은 깜짝 놀라지 않을 수가 없었다. 거기에는 그가 독일에서 활동 했던 모든 기사들이 스크랩 된 파일이 들어있었던 것이다.
서양음악의 역사는 작곡가의 역사(창작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다보니 독일은 서양 고전음악사의 종주국으로 인정받는다. 작품을 만드는 진정한 예술가를 바라보는 독일 한 노인의 안목과 마음이 못내 아쉽기만 한 것은 이런 이유에서일까?
임주섭 영남대교수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