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대운하' 사업 백지화를 거듭 선언한 정부가 최근 京仁(경인)운하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어제 국회 업무보고에서 "경인운하의 경제성과 안정성을 검토한 뒤 관계기관의 협의를 거쳐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인운하 건설사업을 정부 고시 민자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해 기본계획변경(안)을 마련 중이라고 하니 내부적으로는 이미 의견 수렴을 거친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여기서 경인운하 사업이 왜 다시 언급되고 있는지 깊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반대 세력에 밀려 '한반도 대운하' 사업에 대해 다시는 언급조차 하지 않겠다고 다짐한 정부였다. 그런데 왜 경인운하 사업에 다시 집착하는가. 이유는 분명하다. 건설경기를 부양하지 않고서는 경제를 살리기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경인운하 사업은 1995년부터 추진되다 2004년 중단됐다. 환경파괴 논란에 휩싸인 탓이다. 그런데 지금 우리의 경제사정을 보면 무턱댄 환경 논리에 밀려 국가적 거대사업을 미루어둘 처지가 못 된다.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를 늘려서라도 경제부터 살리고 봐야 할 다급한 입장이다. 경인운하 사업이 재개되면 1조3천억 원이 투입된다. 수도권에 엄청난 파급효과가 미쳐 반대할 명분도 크게 줄어들 게 틀림없다.
문제는 낙동강운하다. 누가 봐도 대구'경북지역 경제 활성화의 최대 현안이다. 이런 상황인데도 대구시와 경북도는 너무 안이하다. 대구시의 3대 현안 사업에도 낙동강운하는 빠져 있다. 적극성을 띠고 추진해도 시원찮을 판국에 팔짱을 끼고 있으니 중앙정부가 관심을 가지겠는가.
낙동강운하는 얼마든지 친환경적으로 이 지역의 막힌 물류를 뚫는 물길로 만들 수 있다. 이 지역의 경기부양과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사업이다. 지자체들이 좀 더 분명한 목소리를 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