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기무사 터 군인아파트 추진…서울은 미술관 추진

대구 수성구의 옛 국군기무사령부(기무사) 터에 군인 아파트 건립이 추진되자, 해당 구청과 주민들은 지역발전을 가로막는 '기피시설'이 될 것이라며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서울 도심의 기무사 터처럼 문화시설, 공원 등 시민휴식공간으로 조성돼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국방부는 4일 수성구 만촌동 메트로팔레스 아파트 인근 기무사 터에 민간자본투자사업(BTL)방식으로 '대구 군사(軍舍)'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민간사업자와 군사 건립 관련 실무협상을 벌이고 있으며 이르면 내년 8월 착공해 2012년 초쯤 완공할 예정이라는 것.

기무사 터는 부지 2만6천807㎡ 규모로 2005년 12월 기무사가 이전하면서 빈 터로 남아 있다. 국방부는 민간사업자에게 이 부지를 제공하는 대신 건립비를 부담케 하고 국방부가 임대하는 방식으로 11개동, 280가구의 아파트를 지을 계획이다.

이 부지는 전용주거지역으로 8m이하, 2층 이하의 건물높이 제한을 받았지만, 2003년 일반주거지역 종세분화에 따라 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변경(최고 고도 7층 이하)됐다. 국방부 관계자는 "국가기관 추진 사업이기 때문에 구청과 협의만 거치면 사업은 별 무리없이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정작 수성구에서는 군인 아파트 건립 계획을 놓고 "용도 폐기된 기무사 부지를 시민을 위해 사용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특히 비슷한 규모의 서울 종로구 소격동 기무사 자리(2만7천354㎡)의 경우 정부가 이를 매입해 국립현대미술관 건립 계획을 발표한 마당에 대구의 기무사 터 역시 정부가 나서 도심공간으로 조성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주민 김영숙(44·수성구 만촌동)씨는 "군인 아파트는 보안 때문에 출입이 까다로워 '도심의 섬'이 되기 싶고 지역 발전을 가로막는 시설이 될 우려가 있다"며 "민간지역에 군 시설을 지으려면 주민들과 충분한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수성구청은 정부와 대구시가 국방부와 협의해 대체부지 제공이나 매입을 통해 공원 등 시민들의 여가활용 공간으로 만들어 줄 것을 원하고 있다. 구청 관계자는 "국방부가 부지 매각의 의사를 밝힌 적이 없어 부지매입 등에 대한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며 "한번 들어서면 최소 수십년간 이전이 어려운 만큼 도시 발전과 디자인 등을 고려한 부지 활용방안이 나와야 한다"고 했다.

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