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샴페인 20병 중에서 이미 11명을 비우고 냉장고에 9병만 남았다."
1973년 1차 오일쇼크로 전 세계 경제를 뒤흔든 석유. 일본 석유광업연맹은 석유고갈이 65년 남았다고 발표했다. 석유가 없으면 현대 문명은 유지되지 않는다. 악마의 눈물, 석유는 온갖 갈등과 분쟁의 근원으로 작용한다. 석유로 인해 에너지, 식량, 환경의 3각 악순환 딜레마에 빠지고 있다. 제3차 석유파동은 불과 30~40년 앞 혹은 그보다 더 빨리 다가올 인류의 어두운 미래다.
KBS1TV '환경스페셜'은 17일 오후 10시 '재난의 서곡, 검은 진주의 종말'을 방송한다. 현대산업의 혈액과 같은 석유의 모든 것을 담았다.
한국은 하루에 장충체육관 약 5개 분량의 석유를 소비하고 있다. 비산유국가 가운데 2위, 아시아권에서는 가장 많은 소비량이다.
석유해외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원유가격 상승에 가장 취약한 나라다. 과연 한국의 선택은 무엇일까?
겨울이 긴 스웨덴은 2020년부터 난방용 석유 소비는 없을 것이라고 선언을 했다. 사람들은 솔방울로 무슨 난방을 할 수 있겠냐며 비웃었다. 스웨덴은 오일쇼크 후 원자력과 태양열, 풍력 바이오가스등 대체에너지 개발에 집중해 왔다. 가장 값싸고 효율적인 바이오가스에너지정책이 우선시 되면서 톱밥과 나무껍질, 심지어 나무 뿌리까지 이용해 연료로 활용했다. 그리고 축산분뇨와 폐수를 이용해 난방을 하고 버스를 운행한다. 그 결과 77% 석유 의존도는 29%로 낮아지는 성과를 거뒀다.
한국도 고유가 시대에 태양열과 태양광, 풍력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적극적이다. 그러나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비율은 2%도 못 미치고 있다.
김중기기자 filmton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