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컴을 통해 이젠 제법 귀에 익숙한 PET-CT(양전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 MRI(자기공명영상), CT(전산화단층촬영) 등의 첨단영상진단기들은 보다 빠르고 정확한 질병의 진단을 통해 환자의 치료방향을 정하거나 또는 직접 치료에 이용되기도 하는 등 현대의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면 컴퓨터 기술을 도입한 이들 영상진단기들은 어떤 원리로 인체의 암이나 손상된 부위를 기능적이면서 해부학적인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걸까.
조기 암 진단에 매우 유용한 PET-CT는 인체의 질병발생이 형태변화보다 기능변화가 먼저 일어난다는 점을 착안한 진단장비로 암과 같은 전이성이 높은 질환의 검사에 쓰임새가 많다. 대개의 암세포는 정상세포와 달리 공격적인 성장을 하기 때문에 자양분으로 인체 대사물질 중 하나인 당 성분을 급격하게 소비하는 특성이 있다.
이런 특성을 이용해 우선 방사성동위원소(사이클로트론)에 무기 또는 유기화합물(F-18FDG'당 성분유사체)을 붙여 인체에 투입 한 후 이 물질이 몸속 장기 등에 고루 흡수되면 몸속의 방사성동위원소가 양전자를 방출하게 된다. 이 때 암세포의 특정 대사물질에 반응한 양전자가 컴퓨터 화면에 3차원의 영상을 진단정보로 보내게 됨에 따라 암세포 유무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가 있다.
MRI는 자석을 이용해 인체 각 부분의 단면상을 영상화하는 기구로 70%이상이 물로 된 인체 특성을 이용, 강력한 자장을 인위적으로 몸에 둘렀다가 일순간 자장을 풀어버리면 물 구성 분자인 수소분자들이 제자리를 찾는 과정에서 비정상적인 부위의 미세한 수소분자 특이한 이동을 영상으로 포착, 질병을 진단하는 장비이다.
장점은 인체에 유해한 방사선을 쓰지 않고도 영상을 얻으며 인체의 생리적 현상이나 각종 신진대사를 관찰할 수 있고 세포내부의 변화까지도 영상으로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단점은 검사시간이 다소 길고 심장박동조율기를 찬 환자는 검사를 할 수가 없다는 점이다.
한편 CT는 X선과 같이 방사선을 이용해 인체의 내부를 진단하는 장비이지만 최근에 고속스캔으로 수초 만에 검사를 끝낼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가 되었다.
우문기기자 pody2@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