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제살리기 TF팀 출범…위상·운영비 마련 과제로

23일 오후 서울 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한나라당 대구시당과 대구시 당정간담회에서 김만제 전 경제부총리가 이끄는 '대구경제 살리기 태스크포스(TF)'가 출범했다.

TF는 박근혜 전 대표가 지난 10일 열린 대구지역 국회의원 모임에서 구성을 제안한 뒤 서상기 대구시당 위원장과 박종근 의원 등이 김 전 부총리에게 참여를 요청하면서 이날 공식 출범한 것이다.

TF는 지역의원들과 각계 전문가 30여명으로 꾸려졌다. 내부 조직은 ▷인프라 ▷산업 ▷외자 및 대기업 유치 ▷연구개발(R&D) 및 교육 ▷종합 등 5개 팀으로 구성됐고 각 팀별로 지역의원과 5명 정도의 전문가들이 들어가 있다. 기능은 미래성장산업을 발굴하고, 이에 필요한 각종 정책과 아이디어를 한나라당 대구시당과 대구시에 전달하는 자문기구 성격을 띠고 있다.

TF에는 대구 지역의 교수와 연구원 등 전문가뿐만 아니라 출향인사들도 다수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성원을 지역인사로 한정할 경우 시각이 좁아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 같은 판단의 연장선상에서 현재 대구시의 각종 정책 자문을 하고 있는 인사들도 가급적이면 배제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부총리는 "기본적인 역할은 자문이며, 국회의원들이 구상하고 있는 부분을 잘 이끌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TF에 대한 우려도 없지 않다. 우선 TF의 위상이 분명치 않다는 점이다. 의원들은 대구시당이나 대구시와는 별도로 움직이는 제3의 기구라고 설명한다. TF의 자체판단에 따라 의원들과 대구시에 관련 자료를 요구하거나 토론회와 세미나도 개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서상기 시당위원장은 "대구의 미래를 고민하는 TF팀으로 상당한 위상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대구시 측은 "TF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을 듣지 못했다"면서 "국회의원들의 자문기구 아니냐"는 반응을 보였다. 향후 대구의 성장산업 발굴이나 발전전략 수립 등 각종 청사진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TF팀과 대구시의 견해가 틀릴 경우 TF팀이 어느 정도 힘을 발휘할 수 있을지 의문을 품게 하는 대목이다.

또 TF 운영비 마련도 숙제다. 회의개최 비용뿐만 아니라 외자유치 등을 위해서는 해외방문을 하기도 해야 하는데 이에 필요한 경비 조달이 쉽지 않다. 지역의원들은 대구시가 부담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생각이지만 대구시는 입장을 유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치권과 시가 TF 운영에 대해 엇박자를 낼 경우 의욕적인 출범과는 달리 표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창환기자 lc156@ms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