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해태제과 제품에서 다량 나온 멜라민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과자에서도 멜라민이 검출된 것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해태제과가 중국에서 주문자상표부착(OEM) 방식으로 제조해 들여온 '미사랑 카스타드'와 제이앤제이인터내셔널이 수입한 '밀크러스크'에서 멜라민이 검출됐다고 24일 밝혔다.

지난 7월 22일 중국 톈진 현지공장에서 생산한 해태제과의 '미사랑 카스타드'에서 137ppm(66g 1봉지 9㎎)의 멜라민이 검출됐다는 것이다. 또 '밀크러스크'는 지난 8월 13일 홍콩에서 수입한 제품으로 멜라민이 7ppm 들어있었다.

해태제과는 스스로가 "한국 제과업계의 역사와 함께해 왔다"고 내세우는 제과업계의 대표다. 생산제품도 비스킷 스낵 껌 초콜릿 등 과자류에서 아이스크림과 만두 피자 등 냉동식품까지 먹을거리 종합 제조창이다. 해태제과 측은 멜라민이 함유됐다고 발표한 중국의 22개 회사 유가공품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런데도 이 회사 제품에서 멜라민이 검출됐다는 사실은 우리가 먹는 제과 전반에 대한 불안감을 갖게 만든다.

식약청이 중국산 식품의 안전성이 확보될 때까지 분유가 함유된 중국산 식품의 수입을 금지키로 한 조치는 당연하다. 그러나 일이 터질 때마다 수선을 떠는 대증요법으로는 국민들의 식품에 대한 불안을 해소시킬 수 없다. 올 들어 중국에서 들여온 유제품 함유 가공식품만도 1천800여 건 1만8천여t이나 된다. 여기에다 원산지 표시 없는 중국산 유제품 함유 식품들은 여전히 위생 안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가공식품 원료 구성 비율이 높지 않거나 제품명에 들어간 원료가 아니면 원산지를 표시할 의무가 없기 때문이다. 모든 식음료 제품에 대한 안전검사 수준을 새로 조정하고 관리를 강화하는 것을 검토할 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