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대구합동청사 부지가 달서구 대곡동(대진고 뒤편)으로 최종 확정됐다는 소식(본보 25일자 2면 보도)에 달서구 주민들은 환영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후 건립 절차도 순조로울 전망이고 일대의 경제적 효과도 클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합동청사 조성 조건으로 국민임대주택이 들어서는 것에 대해서는 여전히 반대하는 등 논란의 불씨는 남아있다.
◆청사는 OK, 임대주택은 NO
달서구 대곡동에 사는 주민 김모(53·여) 씨는 "정부청사가 들어오면 지역이 크게 발전할 수 있을 것 같다"며 "하지만 국민임대주택이 들어오면 일대가 슬럼화할 수도 있어 걱정"이라고 했다. 성서공단에서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이모(44)씨도 "대구에 흩어져 있는 정부기관을 일일이 찾아다니다 보면 허비하는 시간이 너무 많다"고 반기면서도 "임대주택에 반대하는 주민들의 움직임이 일고 있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대곡지구 합동청사 건립은 반기면서도 국민임대주택이 들어서는 것에 대해서는 대체로 반대하고 있었다. 국민임대주택 조성 반대는 합동청사 사업 초기부터 논란의 불씨였다. 그러나 국민임대주택건설촉진법상 대곡2지구 일대가 국민임대주택 예정지구로 지정되지 않으면 합동청사 단독으로 입주할 수 없다. 국토해양부가 당초 대곡2지구 국민임대 주택 규모를 2천288가구에서 3분의 1(1천525가구)로 축소키로 결정했지만 논란은 여전해 향후 사업추진에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최성기 달서구 의원은 "국민임대주택 규모를 3분의 1이나 줄인 만큼 구회의 차원에서도 국민임대주택 건설을 수용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며 "하지만 국민임대 주택 반대를 외치는 주민들이 많은 만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은 절차·경제 효과, 모두 순풍
정부청사 건립은 순조로울 것으로 보인다. 대한주택공사 대구본부 한 관계자는 "대곡지구 국민임대주택 예정지구 지정까지는 대구시, 주택공사와 협의가 남아있고 중앙도시계획위원회(중도위)의 심의를 받아야 하지만 무리 없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지구지정이 부결된 경우가 전국적으로 거의 없기 때문이다. 또 국토해양부가 예정지구로 지정한 뒤 국민임대주택 계획이 무산된 적이 단 한차례도 없다는 게 주공 측의 설명이다.
청사 입주로 달서구 일대에 유발되는 경제 효과도 클 것으로 보인다. 대구에 산재한 10여개의 정부 산하 기관에 종사하는 인원은 600여명. 매일 오가는 수천명의 민원인들까지 고려한다면 일대 상권 지도가 크게 바뀔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달서구청 손경수 도시계획팀장은 "대곡2지구에 합동정부 청사가 들어오면 민원인 등 유동인구와 상주 직원들이 파생시키는 경제적 효과가 엄청날 것으로 예상돼 서남부 생활권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촉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상준기자 zzu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