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불확실성 수익 'NO'…안정적 생존 'YES'

본격적인 경기후퇴(Recession)의 공포가 시작됐다. 금융부문의 위축이 실물경기로 전이되면서 우리나라는 물론, 전세계에 동반 불황이 찾아온 것이다.

투자상품시장에 찾아온 충격으로 '깡통계좌'가 속출한 처지에서 이제 월급이 줄어들고, 일자리를 잃거나 취업을 못하는 상황이 나타나는 국면이 다가왔다. 단시일내에 해결되기 어려운 위기라는 점에서 암울함은 더 크다.

이제 가계부를 완전히 새로 고쳐 쓰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충고하고 있다.

◆정말 위기인가?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는 7일 금리 인하를 발표하면서 "내외 여건을 볼 때 내년 경제성장률이 상당히 많이 내려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경제의 버팀목이었던 수출이 비틀거리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 수출증가율은 9월 28.2%에서 10월 10.0%로 뚝 떨어졌다.

이 총재는 "연초에는 선진국 수출이 약화됐으나 최근에는 신흥시장국 수출의 성장세마저 떨어지고 있다. 반도체, 컴퓨터, 자동차 등 주력수출품까지 부진한 모습"이라고 우려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세계경제전망'을 수정해 발표하면서 경제성장률이 올해 3.7%에 그치는데 이어 내년에는 2.2%로 더욱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경제성장률이 3% 이하로 떨어지면 글로벌 경제가 침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 세계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미국의 내년 성장률은 0.1%에서 -0.7%로 하향 조정되면서 세계경기가 동반 침몰할 것이라는 우려를 확산시키고 있다.

다른 선진시장도 사정은 마찬가지로 유로 지역은 -0.5%, 일본은 -0.2%, 영국 -1.3% 등으로 주요 선진국들이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면치 못하고 대구경북지역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마저 내년엔 올해(9.7%)보다 성장세가 크게 둔화된 8.5% 성장에 그칠 것으로 IMF는 예측했다.

◆깨진 투자상품은 어쩌죠?

굿모닝신한증권 정의석 투자분석부장은 "지금은 불확실한 수익을 노려서는 안된다. 안정적 생존이 우선이다"라고 했다.

그는 "'주가라는 것이 몇년을 기다리면 언젠가는 상승, 반드시 원금회복 이상 수준이 됐다'는 말이 있지만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1980년대 일본 증시, 1990년대 미국 나스닥증시에서 나타났던 '고점'은 아직도 회복이 되지 않고 있다. 일본의 경우, 20년이 지났지만 아직 그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투자상품을 가진 사람중 상당수가 자신의 원금을 회복하지 못할 수 있다. 지금의 평가수익률을 냉정하게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똑같이 주가가 하락했다면 업종대표주로 갈아타기를 시도하고, 브릭스펀드 투자도 이머징시장에 대한 '몰빵'투자이므로 환매를 해서 펀드 쪼개기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나 계명대 재무상담클리닉센터 허수복 부센터장은 "무작정 환매해서 손실을 확정해서는 안된다. 반토막 펀드를 환매해 저축으로 간다면 손실을 만회하는데 10년 이상 걸린다. 앞으로 10년 이내에 코스피지수가 2,000으로 간다면 기다리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고 했다.

◆빚은 줄이고, 안전 투자상품에 관심을

최근 은행은 물론, 저축은행·신협 등에서의 정기예금 상품 가입이 급증하고 있다. 안전상품으로 확정금리인 예·적금에 다시 돈이 몰리고 있는 것이다.

대구시내 상당수 은행과 저축은행의 경우, 1년 만기 정기예금 이자율이 7%(복리 기준)를 넘어서고 있다.(표 참조)

1년 만기 7.44%의 정기예금을 팔고 있는 삼화두리저축은행 박승환 자금팀 차장은 "지난 3일 금리를 올린 이후 1주일만에 20억원이 넘는 돈이 쏟아져 들어왔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리고 있지만 시중에 돈가뭄 현상이 심화, 금융권도 돈이 모자란 상황에서 금융회사들이 예금금리를 내리기가 힘들 것이다. 고금리 예적금 상품은 당분간 판매가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외환위기 때 경험해 봤지만 금융회사를 이용할 때는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넌다는 생각을 해야 한다. 아직 은행 부실 위험은 크지 않지만 5천만원까지 예금자보호가 된다는 사실은 잊지 말아야 한다. 은행이 쓰러지더라도 자신이 받을 수 있는 이자까지 포함해 5천만원까지는 법적으로 예금자보호가 되므로 안전상품도 여러 곳에 분산투자해 놓는 것이 좋다.

최경철기자 koala@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