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시민과 함께하는 시민단체여야

시민단체들이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시민단체네트워크가 정치'사회학자, 기자, 오피니언 리더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조사대상자들은 '시민 없는 시민운동'과 '정파적'이념적 편향성' '시민단체의 권력화'를 시민단체 위기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시민단체의 운동방향과 정체성 회복을 위한 자정 노력이 절실함을 보인 것이다.

시민단체의 신뢰 위기는 우리나라의 대표 시민단체인 환경운동연합의 보조금 유용에 대한 검찰 수사에서도 접할 수 있다. 검찰은 13일 최열 환경재단 대표를 불러 기업후원금과 국가보조금 중 2억여 원을 사업 목적과 다른 용도로 사용했는지 조사했다. 최 대표는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지만 검찰은 추가 조사를 거쳐 사법처리에 자신을 보이고 있다.

이에 앞서 검찰은 4년 동안 3억 원을 횡령한 혐의로 환경운동연합 간부를 이달 초 구속했다. 그는 지원금을 받기 위해 이미 지난 사업계획서를 짜고 가짜 세금계산서를 만들기도 했다. 지원금과 후원금으로는 개인 채무 변제에다 애인의 생활비를 주기도 했다는 것이다. 또 '아시아'태평양 환경NGO 한국본부'의 간부는 청와대 보좌관을 사칭해 10여 명으로부터 31억 원을 뜯어냈다 어제 경찰에 구속됐다.

시민단체는 도덕성이 생명이다. 현재 드러난 문제들을 특정 단체나 일부 간부의 개인적 일탈로 치부해서도 안 된다. 환경련이 최근 간부 일괄 사퇴와 사과문을 내고 특별대책회의를 구성키로 한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시민단체도 이젠 과거 운동권의 관행에 젖은 운동 중시 형태를 벗어나서 시민과 함께하는 운동을 펼쳐 나가야 한다. 정부정책과 기업활동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회계의 투명성 확보와 함께 장차는 이들로부터 지원을 줄여 나가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