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맴돌다
감기다가
뱅, 뱅, 맴돌다 슬리는
차지도 뜨겁지도
그 중간도 아주 아닌
그을려 그을려서 된
봄……꽃……
환한
그런 꿈.
2
비로소 깨달았네. 회한을 꼭 닮은 것.
섧어서 별리가 섧어 화석이 된 공기여.
3
숲에 살자. 갈밭은 싫니?
별이 쏟아지는 밤이면 아무데면 어떻누?
목숨을 빚을 무렵에 으레 서리는 촉루.
자, 이 작품을 어떻게 읽을까요. 제목부터가 심상치 않은데요. 연기만 해도 앞이 흐릿한 판에 아닌 추상이라니. 그래요, 이럴 땐 그저 느낌으로 읽는 겁니다. 의미와 의미의 충돌이 빚어내는 전혀 다른 의미의 출현. '맴돌다/감기다가……슬리는', '차지도 뜨겁지도/그 중간도 아주 아닌', 사라졌나 하면 다음 순간 다시 환한 꿈으로 되살아나는 그런 것. 회한을 꼭 닮은, '별리가 섧어 화석이 된 공기'에는 뭔가 말 못할 정분 같은 게 녹아 있습니다. 그 애틋함이 귓전을 적시는 나직하고 다감한 속삭임이 됩니다. 사랑 앞에 숲이건 갈밭이건 무슨 상관입니까. 별이 쏟아지는데 아무데면 어때요. 대미는 정반합입니다. 목숨을 빚는 것이 정이라면 거기 서리는 촉루는 반이요, 이 둘의 교감 속에 새롭게 탄생하는 생명이 곧 합이죠. 아무래도 불가의 윤회와 기미가 통하는 눈칩니다.
시조시인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