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 너머 성 권농 집에 술 익단 말 반겨 듣고/ 누운 소 발로 박차 언치 놓아 지즐타고/ 아해야 네 권농 계시냐 정 좌수 왔다 하여라' -정철-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 제/ 일지춘심을 자규야 알랴마는/ 다정도 병인 양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이조년-
시조는 예부터 전해오는 문학양식 가운데 가장 많은 작품이 전해오는 갈래다. 4음보 3장의 정형시지만 그다지 딱딱하지 않다. 자신만의 내밀한 감흥을 소화할 수 있는 서정 구조와 담백한 미의식은 시조가 그토록 질긴 생명력을 이어오는 근거다. 시조는 고려 말부터 지금까지 임금과 정승에서 나무꾼과 기생에 이르기까지 우리 겨레 누구나 즐겨 짓고 불렀다.
이 책은 북한에서 낸 조선고전문학선집 3 '시조집'을 다시 펴낸 것으로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 '남훈태평가' '청구가요'에 전하는 시조를 거의 다 골라 1천53수를 담았다. 현대 독자들이 보기 쉽도록 주제별로 갈라 엮었다.
엮은이 김하명은 평안도 영변 출생으로 서울 대학교를 다녔고, 월북한 뒤 김일성 종합대학을 졸업했다. 북한의 고전 연구와 문예이론 정립에 큰 역할을 했으며, 사회과학원 주체문학연수고 소장을 지냈다. 480쪽, 2만8천원.
조두진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