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영남대 구성원들이 재단 정상화 바란다면

영남대가 舊(구)재단이사장이었던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에게 현 임시이사 체제를 대신할 정식 재단이사회에 참여해 달라고 공식 요청했다. 영남대와 영남이공대학의 학교법인인 영남학원의 정상화추진위원회가 학교를 구재단에 되돌려주겠다는 뜻을 밝히고 나선 것이다. 1988년 11월 학내 민주화 운동과 맞물려 박 전 대표가 이사장직서 물러나고 이듬해 2월 임시이사 체제로 전환한 지 꼭 20년 만이다.

지난 2월 영남학원 이사회에 의해 구성된 영남학원 정상화추진위원회는 임시이사 체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영남학원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물으며 준비를 해왔다고 한다. 영남대와 영남이공대학 교수와 직원, 동창회 관계자 등 2천5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현 체제를 대신할 정식 재단에 1989년 임시이사 체제 전환 이전의 구재단이 참여하는 데 찬성했다는 것이다. 정상화추진위는 아울러 새 정식재단의 이사회(7명) 구성시 구재단 측에서 50% 이상이 참여하고 나머지는 영남학원 구성원 대표가 참여해야 한다고 밝혀 구재단이 새 이사회의 주축이 되어야 한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영남학원은 지난 1967년 대구대와 청구대를 통합해 출범한 학교법인으로 박정희 전 대통령이 교주였다. 박 전 대통령 사후 박 전 대표 등에게 승계 운영돼 오다 1988년 11월 학내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학생 교수 동문들의 퇴진 요구로 구재단이 물러난 것이 현 임시이사 체제의 뿌리인 것이다. 임시이사 체제하에서는 주인의식을 갖기가 어렵다.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하거나 재산권을 행사하는 데도 어려움이 따른다.

평소 구재단 측은 영남학원 정상화는 구성원들의 의사에 따라야 한다는 의견을 밝혀왔다. 이제 영남학원 정상화추진위가 학내 구성원들의 뜻을 모아 구재단의 정식이사회 참여를 요청했다. 지난 20년간 임시이사 체제로 운영돼온 영남학원의 재단 정상화 물꼬가 트인 것이다.

재단 구성원들이 절대 다수로 그 의사를 분명히 밝힌 만큼 법인 이사회가 재단 정상화를 미룰 이유는 더 이상 없어졌다. 공을 넘겨받은 구재단이나 교육과학기술부 등은 재단 정상화를 위한 조치를 취해 나가는 것이 옳다. 다만 대리인을 내세우는 식의 재단 참여는 경계해 마땅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