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 지역 대학가에서 '총장' 명칭 사용을 두고 한바탕 논란이 벌어졌다. 지역 A전문대학 B학장이 '총장' 명칭을 명함 등을 통해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B학장이 총장이 된 사연은 이렇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지난해부터 전문대학에서도 '학사' 학위를 받을 수 있도록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제도를 도입하면서 A전문대학은 7개 학과에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을 설치했다. 문제는 '1, 2년 뒤 이 과정 졸업생들에게 줄 학사 졸업장에 '학장' 명칭을 사용해야 하느냐'였다. B학장은 4년제 대학과 똑같은 학사 졸업장에 당연히 '총장' 명칭을 사용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올 초부터 총장이 되기로 한 것이다.
이런 논란은 이르면 내년 신학기부터 사라지게 됐다. 전문대학도 총장 시대가 열리는 것.
임해규 의원(부천시 원미구 갑) 등 한나라당 국회의원 10명은 지난달 대학의 종류에 구분없이 학교의 장으로 총장 또는 학장을 둘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고등교육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이들은 "현행 고등교육법에는 대학·산업대학·교육대학 및 원격대학에는 학교의 장으로 총장 또는 학장을 두고, 전문대학과 기술대학에는 학장을 두도록 명시돼 있는데 고등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의 장은 권한이나 업무에 차이가 없는 만큼 형평에 맞게끔 이러한 구분을 없애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법 개정안 발의 이유를 설명했다.
이 개정법률안은 12월 정기국회에서 통과되면 내년 신학기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지역 C전문대학 D학장은 "지난해부터 전문대학에서도 학사 학위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으며 매년 조금씩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4년제 대학은 총장, 전문대학은 학장이라고 구분하는 것은 의미가 없어졌다"며 "정치권에서 이에 대한 구분을 없애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환영한다"고 말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