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낙동강 상류 수질개선·오염방지 '시동'

영남지역 1천300만명의 식수원인 낙동강 상류지역의 중금속 오염 문제(본지 11월 27일자 6면 보도)가 국회에서 처음으로 다뤄진 이후 정부의 수질개선과 오염방지 대책이 구체화되고 있다.

4일 안동대 비점오염연구센터(소장 김태동 교수)와 안동임하호 물문화협의회가 마련한 '물환경 포럼'에 참석한 환경부 윤승준 물환경정책국장은 "내년에 낙동강 상류인 봉화지역에 수질자동측정소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 국장은 또 낙동강 상류 강바닥에 쌓여 오염원이 되고 있는 폐광미 제거사업과 더불어 상류 오염원에 대한 체계적 역학조사 실시 검토, 석포 영풍제련소 황산 탱크로리의 잦은 전복사고로 인한 낙동강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연중 철로를 이용한 황산 이동을 제도화하는 등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물환경 포럼에는 정부와 경북도, 학계, 상하류지역 민간단체 등 전문가 200여명이 참석해 정부의 물환경 정책 방향과 경북도의 상류지역 수질보전 정책 및 과제, 우리나라 하천의 부영양화 실태 등을 논의했다.

그동안 정부는 낙동강 페놀오염사고(1991년)와 낙동강 유기용제 오염사고(1994년), 김천 페놀유출 사고(2008년) 등 각종 오염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물관리 종합대책(1998년), 4대 강 물관리 종합대책(1998~2005년까지) 등을 세웠으나 수질 생태계 복원과 비점오염 관리에 소홀해 왔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김주현 낙동강수계관리위 자문위원장은 "수계관리 부담금 사용이 수질개선 사업에 사용돼야 한다"면서 "하수관거사업 확대와 폐수처리시설 확충, 상류지역 소도읍 오수처리 시설 등 정부예산의 확충을 통한 수질개선 사업이 시급하다"고 했다.

안동·엄재진기자 2000jin@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