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충성도 높은 대구경북인사 중용설

청와대 비서실 개편과 개각이 단행될 경우 대구경북 출신 인사들이 얼마나 중용될지 주목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이 온갖 화살을 맞으며 상처를 입고 있는 까닭은 충성도가 낮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청와대 비서진이 대통령 뒤에 숨어 나서지 않기 때문이란 지적이 많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충성도가 높을 것으로 평가되는 대구경북 출신 인사들이 중용돼야 한다는 게 대구경북 지역의 기대다.

정정길 대통령실장과 정동기 민정수석의 잔류 여부가 최대 관심이다. '마당발'로 불리는 정 실장은 소리없는 행보와 비서실을 무리 없이 이끌고 있다는 평가다. 정 수석도 공직자 사정에서부터 치안까지 상황에 따라 적절히 대응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기 참모진의 복귀 여부도 관심사다. 상주 출신인 류우익 전 대통령실장은 '이 대통령의 이데올로그'라는 별명답게 좌파에 대항하는 보수 연합체 조직을 구축, 이 대통령을 측면 지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주호 전 교육과학문화수석은 다음 개각 때 교육과학기술부 차관에 거론되고 있다. 현재 KDI교수로 있는 그는 9일 "교육수석 때 하지 못한 일들이 많아 대통령의 교육 철학을 실천하기 위해 기회가 되면 다시 일하고 싶다"고 말했다.

곽승준 전 국정기획수석은 미래기획위원장에 기용될 것이란 관측이다. 그는 최근 언론과 인터뷰에서 "이 대통령에게 매직이 있다"며 이 대통령의 성공을 확신한 뒤 보좌진들의 '로열티'(충성심)를 강조했다. 그는 "MB노믹스가 동력을 잃고 있다"고 지적하며 "핵심 세력은 와해되고 반대 세력만 형성된 느낌이다. 이명박다운 것, 지난 정권과 차별화되는 것, 그런 것 때문에 뽑아준 것 아닌가. 그게 바로 MB노믹스인데 자꾸 변형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털어놨다.

'왕비서관'으로 불렸던 박영준 전 기획조정비서관의 행보는 조심스럽다. 모임 참석을 자제하고 그가 이끌었던 선진국민연대와도 일정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그는 9일 "현재로선 복귀하겠다는 욕심이 없다"며 "밖에서도 이 대통령을 돕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고 말했다.

권성훈기자 cdrom@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