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는 신사 운동이다. 1950년대 까지만 해도 여자들은 롱스커트를 입어야만 필드에 나갈 수 있었다.
나의 플레이보다는 상대방의 플레이를 먼저 챙겨 주는 운동이 골프이다. 하지만 그래도 '내기 골프'에서 지고 나면 기분이 상한다. 그래서 골프는 심리적인 스포츠다. 상대방을 기분 나쁘게 하지 않으면서 내기 골프에서 이길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내기 골프에서 결과물은 최종 스코어에 달려있다. 300m에 가까운 빨랫줄 같은 드라이버도 환상적이지만 3m의 퍼팅도 같은 한 타에 속한다. 드라이버 샷이 비실비실 날아가고, 두번째 샷이 형편없어도, 어프로치로 적당하게 핀에 붙여서 퍼팅으로 홀에 집어 넣으면 파다. 이것이 내기 골프다.
이 정도 되면 빨랫줄 드라이버를 날린 상대방도 약이 오르기 마련이다. 나이가 지긋한 시니어 골퍼들은 드라이버에 눈이 멀어 유연하지도 않는 허리를 돌리면서 장타에 욕심을 내지 말 일이다. 힘도 들이지않고 정확성을 추구하는 숏게임에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내기 골프에선 훨씬 효과적이다.
벙커 플레이도 마찬가지다. 어려운 곳에 있는 공을 멋지게 쳐내면 상대방은 더 잘해야 된다는 생각에 엉뚱한 샷을 만들고 만다. 이것이 개인 플레이면서 상대방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골프의 특성이다.
상대방을 기분나쁘지 않게 칭찬하면서 플레이하는 것도 내기 골프에서 이기는 한 방법일 수 있다. 드라이버를 잘치는 선수를 만나면 여러분들은 어떤 방법을 동원할 것인가? 물론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이런 묘수는 어떨까. 먼저 드라이버가 기가 막히다고 칭찬을 해주고 나서 "혹시 공을 칠 때 숨을 내쉬면서 치세요, 아니면 들이마시면서 치세요" 하고 물으면 이 선수는 군대 시절을 떠올리면서 사격할 때의 자세를 생각할 것이다. 골프를 치면서 프로 선수가 아닌 이상 숨쉬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배운 것이 없이 때문이다. 그러면 잘 치는 드라이버에 대해 칭찬을 받았으니 질문에 대해 화답을 해야 하는데 본인이 미처 생각지도 않는 질문에 머리가 아플 것이다. 드라이버를 칠 때마다 내가 숨을 내쉬고 치는지, 아니면 들이마시고 치는지 18홀 내내 생각할 것이다. 이럴 때는 드라이버를 칠 때마다 옆에서 왜 질문에 빨리 답이 없냐고 재촉을 하면 효과는 배가 된다. 물론 신사 스포츠인 골프와는 어울리지 않는 잔머리다. 그래도 어쩌랴. 내기 골프엔 이기고 싶은 것을….
한국프로골프협회(KPGA) 회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