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청년 일자리 창출, 구조적인 접근을

경제 불황이 깊어지면서 고통스럽지 않은 분야가 없겠지만 그 중에서도 목불인견이 바로 '청년 백수'다. 한창 일할 나이에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으니 개인의 앞날은 물론이요, 나라의 미래마저 암울하게 만든다. 그러나 불황기에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기란 쉽지 않다. 신규 인력 수요가 그만큼 위축돼 있기 때문이다.

지식경제부는 어제 대통령 업무 보고에서 청소년이 선호하는 일자리로 소프트웨어'디자인'컨설팅 등 지식서비스산업 10개 분야에 7천200개, 바이오'로봇 등 미래첨단 6개 분야에 6천200개, 전력'가스 등 전통에너지 및 그린에너지 분야에 1만7천 개 등 약 3만 개를 내년 중 만들기로 했다. 특히 기업이 원하는 핵심 산업인력인 산업'무역'에너지'특허 분야에 5만4천300명을 양성키로 하고 이를 위해 1천840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청은 대학'연구소 기술 창업과 1인 지식인 서비스업을 육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미 지난달 일자리 창출 추진 회의에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해외취업 5만 명, 해외인턴 3만 명, 해외봉사활동 2만 명 등 글로벌 청년리더 10만 명을 육성키로 했다. 또 금융'문화콘텐츠'정보통신'첨단의료'신재생에너지'환경 등 미래산업에 청년리더 10만 명도 양성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이런 장기 계획보다 지식경제부가 당장 내년도 청년 일자리 마련에 급급한 것은 그만큼 청년 고용환경이 엉망이라는 얘기다.

현재 우리는 청년 백수 100만 명에, 청년 구직자만도 300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 아예 신규 취업문을 닫아 버린 기업이 많아 정부의 일자리 창출 노력도 구호에 그치고 있다. 그리고 내년도 취업이 더 어렵다는 사실은 불문가지다.

따라서 정부는 청년 일자리 창출에 지원을 아끼지 않되 구조적인 문제점 해결에도 나서야 한다. 한국의 대졸 초임은 월 198만 원으로 일본(162만 원) 싱가포르(173만 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부분의 청년이 "재수해서라도 대기업 가겠다"며 중소기업 기피 현상을 보이고 있다. 취업에 대한 이런 偏向(편향)된 시각과 양극화 현상이 만연하는 한 청년 실업률을 극복하기는 힘들 것이다. 지금은 나 홀로 좋은 직장 차지하기보다 '나누어 가지는 것'도 사회적 善(선)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국민에게 심어줄 필요가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