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민주노총도 '비상대책회의' 참여하기를

노동계를 대표하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과 사용자 단체인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현재의 경제 위기 극복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나아가 이들은 정부와 시민사회단체, 학계, 종교계를 아우르는 비상대책회의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최대 노동단체가 사용자 측과 손을 맞잡고 IMF 때보다 더 거센 불황 파고를 넘자고 나선 것은 평가할 일이다.

현재의 경제 위기는 개인이나 기업의 한계를 넘어선 국가적 상황이다. 해법도 범국가적이어야 한다. 그런데 노동조합 조직률이 11%에 불과한 현실에서 노사정 합의로는 성공적인 문제 해결을 기대하기 어려워 보인다. 일자리 나누기와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사회안전망 확충, 정부 지원 대책을 사회 각계각층이 함께 논의하고 합의한다면 경제 위기 타파 시점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노총과 노동계를 양분하고 있는 민주노총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정부와 사용자가 경제위기를 빌미로 구조조정과 정리해고를 합리화하려 한다는 것이다. 오히려 정부의 비정규직법과 최저임금법 개정을 막겠다며 전면전을 벼르는 태세다.

노동운동은 사회적 공감을 얻어야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최근 노동조합 활동이 참가자가 줄어들어 움츠러들고 투쟁 일변도 노조활동에 대한 사회적 반대 여론이 높은 것이 현실이다. 민주노총의 산별노조인 금속노조 산하 현대차지부가 근무형태를 놓고 파업을 결의한 데 대한 사회적 비난 여론도 그 중 하나다. 70여만 명의 회원을 가진 민주노총은 이번 경제 위기를 맞아 전략적으로라도 유연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 그게 국민의 호응을 얻는 길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