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교복값, 학부모 복장 터진다

중·고교 입학을 앞두고 학부모들이 교복값 부담으로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대형 교복업체들은 '교복값 안정화' 약속에도 불구하고 지난해보다 10% 이상 가격을 올렸다.

'빅4'(스마트·엘리트·아이비클럽·스쿨룩)로 불리는 대형 교복업체들은 지난달 23일 교육과학기술부와 간담회에서 교복값 안정화를 추진키로 합의했다. 특히 스마트는 지난달 30일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올해 초 15% 정도 오른 교복값을 인상 전으로 되돌리기로 했다는 자율결의 내용을 게재했고 다른 업체들도 이 같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대구 몇몇 대형 교복업체 대리점에서는 교복을 지난해보다 10~15% 오른 가격에 팔고 있었다. 중구의 A대리점은 동복을 24만원에 판매하고 있다. 지난해 22만원과 비교해 10% 정도 인상된 금액이다. 수성구의 B대리점 직원도 "가격을 인상 전으로 낮추기로 했지만 지난해 없던 내피가 추가되는 바람에 실제로는 지난해보다 10% 정도 오른 21만8천원에 동복을 팔고 있다"고 했다.

중학생 아들과 고등학생 딸을 둔 이영주(48·여·대구 중구 남산1동)씨는 최근 교복값만 50만원을 들였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참교육학부모회 대구지부 김정금 정책실장은 "학교들이 공동구매를 하면 대형 업체들은 일시적으로 가격을 내렸다가 다시 올리는 등 편법을 많이 써왔다"며 "교복업체들이 가격을 내린다는 말은 신뢰할 수 없다"고 했다.

이에 따라 학교들과 교원단체의 교복값 안정화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2일 교복값 동결, 교복 공동구매, 교복 물려주기 등 '교복값 안정화 3대 운동'을 적극 펼치기로 했다. 교총은 이날 대형 교복업체에 '교복값 인상 억제 협조요청' 공문을 보낸 데 이어 개학에 맞춰 전국의 학교장과 학교운영위원에게 '교복공동구매 활성화를 위한 협조요청' 공문도 발송할 계획이다.

신학기를 앞두고 각 학교들도 교복 물려주기 운동을 활발하게 벌이고 있다. 대구시교육청은 노변중, 경상여고 등 23개 학교가 교복 물려주기 운동에 동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소 교복업체 연합브랜드인 코사라인 대구경북본부 김성규 본부장은 "보통 새학기 때 공동구매가 부진하지만 올해는 교복값 안정화 요구 여론이 높아 하복부터는 공동구매가 활발해질 것 같다"고 했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