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세계적 금융위기의 충격은 수도권보다 지방이 훨씬 더 커 지방경제를 거의 고사상태로 몰아가고 있다. 특히 지방경제의 각종 경제 지표들은 우울하기 짝이 없다. 이런 상황에서 이명박 정부는 수도권 규제완화를 골격으로 '선 수도권 육성 후 지방발전'이란 정책기조를 고집하고 있다. 과연 이것이 지방경제와 전체 한국경제의 위기를 타개하는 적절한 정책일까?
최근 전시컨벤션산업은 '고부가가치산업, 청정산업, 신지식산업'이고 '21세기 굴뚝 없는 황금산업'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세계 각국정부와 각 지자체들이 유망산업으로 적극 육성하고 있다. 전시컨벤션의 불모지였던 대구에서도 2001년 4월 EXCO가 개관한 이래 크고 작은 전시컨벤션, 문화공연이 거의 매일 개최되면서 지역민들의 시야가 열리고 눈높이가 크게 높아졌다. 한마디로 지역의 렌드마크로서 EXCO는 지역의 자부심이고 이제 경제의 중심에 서게 됐다.
특히 현재 착공중인 EXCO 확장공사가 2011년까지 완성되면 그동안 국제적 규모의 전시회를 개최하기 위해서는 최소 2만㎡ 이상이 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1만1천616㎡의 작은 규모로 인해 겪었던 서러움을 한 번에 극복하게 됐다. 전시장 확장을 위해 대구와 경북이 합심해 노력한 결과다.
그러나 중앙정부 정책당국자들은 지역의 전시컨벤션산업 육성을 위한 각고의 노력을 도와주지는 못할망정 찬물을 끼얹고 있다. 몇 가지 사례를 들어보자.
먼저, 지난 1월 22일 올해 정부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국내 주요 전시회가 대부분 서울 등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으며, 대구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특히 정부의 전폭적 지원이 없어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글로벌 톱 후보전시회와 브랜드 전시회는 한 개도 유치하지 못하였다. 이들 전시회의 대부분은 COEX(서울)와 KINTEX(경기 고양) 등 수도권에 집중되었고, 비수도권 중에는 유일하게 부산의 BEXCO가 1개의 글로벌 톱 후보전시회를 유치했을 뿐이다.
게다가 지역에서 실컷 키워놓은 전시회를 약탈(?)하는 행위까지 서슴지 않고 있다. 지난 7년간 EXCO에서 시작해 정보디스플레이분야 세계 3대 학술대회로 인증받고 있는 '국제정보디스플레이전 및 학술대회(IMID)'도 유사 전시회의 통합·대형화라는 논리로 경기도 KINTEX에서 열리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IMID와 함께 대구의 또 다른 대표 전시회인 소방방재안전엑스포마저 가로챌 기회를 노리고 있다. 이것뿐만이 아니다. 대구에서 시작하여 신재생에너지분야의 권위지인 '포톤인터내셔널'이 우리나라 전시회 중에서 유일하게 세계적 전시회로 인증하고 있는 '그린에너지엑스포'가 명품전시회로 자리매김하자 서울시는 금년 5월 개최하는 '제3회 C40 기후변화협약에 관한 정상회의'를 계기로 COEX에서 금년부터 매년 '신재생에너지전시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대형화· 효율화라는 미명 아래 어렵고 열악한 환경 속에서 기껏 키워놓은 전시회를 수도권으로 빼앗아가고 그것도 모자라 중점 지원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수도권 전시장은 지방전시회를 공짜로 먹으려 들기보다 수도권의 장점을 살린 세계적인 전시회를 발굴· 육성하는 게 옳다. 우리 전시산업을 올바르게 육성하는 방법은 지방과 수도권이 각각의 비교우위를 살려 각자 독특한 전시회를 육성하면서 함께 노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지방의 노력과 창의성을 인정하고 지방의 스타 전시회에 대해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다. 전시산업이 세계에서 가장 발달한 독일의 경우 수도인 베를린뿐만 아니라 하노버, 프랑크푸르트, 쾰른 등 지방에서도 각 지역의 개성을 살린 세계적인 전시회가 개최되고 있다. 이런 문제는 전시컨벤션산업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작금의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부당국자의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
서민교(대구대 무역학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