짚신장수와 우산장수를 아들로 둔 어머니는 늘 걱정이 떠나지를 않았다. 비가 오면 짚신장수 아들이, 맑은 날에는 우산장수 아들이 장사가 안 될까봐서다. 이를 보다 못한 어떤 이가 그 어머니에게 "맨날 그렇게 걱정만 하지 말고 긍정적으로 생각을 바꾸면 어떻겠느냐"고 조언했다. 비가 오면 우산이 잘 팔려 좋고 맑은 날에는 짚신이 잘 팔려 얼마나 좋으냐고 말이다.
세계적으로 불어 닥친 경기침체로 힘들어 하는 요즘 부정적인 생각보다는 긍정적인 사고를 갖는다면 다소나마 위안이 되지 않을까 싶다. 그렇지만 다양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사는 세상에서 꼭 이것이 '맞다' '틀리다'라고 단언하기는 힘들다.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부딪치는 일에는 '좋은 게 좋은 거다'란 즉 정답이 없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한글 맞춤법에는 분명히 정답이 있다.
앞서 두 아들을 둔 어머니에게 충고한 말 중에 나오는 "맨날 그렇게…" 중에서 '맨날'은 '만날'의 잘못된 표기이다. '매일, 늘, 언제나'의 뜻을 가진 단어는'만날'이다.
"일본에 대해서 만날 사과하라고 요구하지 않겠다.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사과를 해야 진정한 사과지 억지로 한 사과는 사과가 아니라고 본다." "서울에서는 발빠르게 불량식품 단속·판매금지에 나서고 있는데 지방에서는 만날 헛구호만 외치는 것 같다." "주변에 친구가 없어서 저래. 지 혼자 놀거나 할매하고 만날 논다." "어떻게 된 게 만날 나만 경박하기 짝이 없고 자기는 냉정하고 초연한 척만 하는지 모르겠다." "공부는 만날 꼴찌고요, 결석도 많이 해요." "빈 강의실에서 공부하자고 모여 놓고 만날 먹을 거 시켜먹으면서 놀고…."
어느 스님이 쓴 책 중에서 '저거는 맨날 고기 묵고'란 게 있다. 사투리로 재미있게 쓴 제목일지라도 언중에게 오해를 사는 표기는 곤란하다. 광고 문구에 나오는 '침대는 과학이다'에서 침대는 결코 과학일 수가 없듯이.
지난 4일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인 입춘이었다. 입춘 전날 밤을 해넘이라 부르고 콩을 방이나 문에 뿌려서 귀신을 쫓고 새해를 맞이한다고 한다. 동양에서는 이날부터 봄이라 부른다. 1월 1일 새해를 맞아 한 해를 기원하기 위해 찾아든 해돋이 인파로 동해가 인산인해를 이뤘던 게 엊그제 같은데 한 달이 훌쩍 지나가 버렸다.
유난히도 추웠던 지난겨울이 지나고 어김없이 봄이 찾아왔다. 계절만 바뀐다고 생각지 말고 우리에게도 힘든 겨울만 만날 있는 것이 아니라 만물이 생동하는 따뜻한 봄도 꼭 찾아오리란 믿음과 희망을 잃지 말자.
교정부장 sbh12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