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주호 교과부 1차관 "교육개혁 망치고 싶지 않다"

취임 한달째인 교육과학기술부 이주호(48) 제1차관이 '실세(實勢)' 이미지 털기에 나섰다. 자신과 상관없는 업무와는 선을 긋고, 야권의 정치 공세에는 일절 대응하지 않는다.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시절 그는 실세였다. 지난해 7월 '촛불'에 밀려 청와대를 떠난 후 7개월간 한국개발연구원(KDI) 교수로 변신한 그는 못다 펼친 자신의 교육 철학을 가다듬으면서 절치부심(切齒腐心)했다.

교육부 차관으로 재입성하는 데 성공하자 그는 다시 실세로 불렸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간사와 청와대를 거치면서 MB정부 교육 정책의 근간을 세운 그가 교육 정책의 최고사령부로 되돌아오자 실세로 비치는 것은 무리가 아니었다. 실제 초·중·고 교사 등 교과부와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50여만명의 인사를 총괄하고 있다.

이 차관은 그러나 외부의 시선에 아랑곳하지 않기로 했다. 취임한 뒤부터 이 차관의 전화기는 쉴 새 없이 울렸다. 기자들은 물론 교육 관계자가 수시로 전화를 걸어 고려대 입학 전형 논란과 연세대 본고사 부활 등 현안과 관련한 입장을 물었다. 그때마다 이 차관은 "제 소관 업무가 아니다"며 말문을 닫는다. 고등 교육 입시 정책은 제2차관의 업무다.

정치적 논란에 대해서는 무대응으로 예봉(銳鋒)을 피하고 있다. 17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 출신이지만 그는 "차관은 실무를 챙기고 감독하는 자리지 국민과 언론 앞에 나서는 자리가 아니다. 정치 공세에 일일이 대응하다가 교육 개혁을 망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정치 현안은 안병만 장관이 맡고 있다. 그는 안 장관에 대해 "친동생처럼 믿어주고 배려해줘서 '친형' 처럼 든든하다"고 말했다.

그는 '반식재상'(伴食宰相-능력은 없으면서 자리만 차지하는 관료)이 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조용조용한 이 차관에게 "10년 좌파 정권 하에서 좌편향된 우리 교육을 중도로 끌어오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총대를 메라"는 강한 주문이 밀려들고 있다고 한다.

그가 추구하는 교육 개혁의 첫 단계는 교육 정책의 데이터화다. 이념에 따라 바뀌던 교육 정책의 한계를 객관적 자료를 통해 해소해 보자는 것이다. 하루빨리 성과를 보여주고 싶은 욕심이 그에게도 있을 것이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