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대표적 오염하천인 범어천(수성구 범물동~두산오거리~어린이회관~신천시장~중앙경영정보고~신천·6㎞)을 생태하천으로 되살리는 계획이 추진되면서 도심 업그레이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와 함께 대구시와 환경부는 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 대회 이전에 범어천 미복개 구간(두산오거리~어린이회관)의 생태계를 복원한 뒤 2단계로 복개 구간까지 뜯어내 '대구의 청계천'으로 조성키로 함에 따라 범어천을 둘러싼 각종 민원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됐다.
그간 아파트, 도로 개설 등 인프라 구축에만 치중했던 대구 행정이 이제는 친환경 중심으로 개발방식의 틀을 바꿔가는 상징성 있는 사업이라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범어천 생태하천 복원 사업은 단순한 생태하천 개발을 넘어 대구시가 추진해왔던 나무심기, 담장허물기 등의 사업, 2013년 세계에너지총회(WEC) 유치 등과 맞물려 친환경 도시의 이미지를 확고히 구축하는 사업으로 의미가 있다"고 했다.
◆범어천 복원, 효과는?=범어천 미복개구간은 그동안 여러모로 골칫거리였다. 하천의 유지수 확보가 안 되면서 대구의 대표적 오염하천으로 변해 미복개 구간(신천합류점~중앙정보고 동편 420m, 어린이회관 앞~두산오거리 1천613m)은 매년 여름철이면 주민들의 민원이 들끓었다. 말라버린 하천에서는 썩는 냄새가 코를 찌르고 바닥 곳곳에는 생활 쓰레기가 넘쳐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인근 주민들은 악취에 시달리다 못해 미복개 구간을 덮어 달라고 집단 민원을 제기한 상황이지만 뾰족한 대책없이 방치돼 왔다. 수성구청은 해결책으로 자연형 하천 복원 사업을 시에 건의했지만 사업비와 타당성 문제의 어려움을 겪어왔다. 더욱이 '더 이상 도심 하천을 복개하지 않는다'는 정부정책에 따라 덮어버리는 것도 쉽지 않아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
복개구간 역시 인근 식당의 주차장으로 이용되는 등 제대로 된 도로 역할을 하지 못해 민원의 대상이 돼왔다. 범어천은 1989년 지산택지개발로 지산우방아파트~두산오거리까지 1.4㎞가 복개된 것을 시작으로 들안길~어린이회관 앞 2.4㎞, 들안길~중앙정보고 동편 0.283㎞가 2005년까지 콘크리트로 덮인 상황이다.
시가 복개구간을 뜯어내고 생태하천으로 개발하려는 2단계 사업이 추진되면 서울의 청계천처럼 시민들에게는 휴식과 볼거리를 제공하고 도시 전체로 봤을 땐 청량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집중호우 때 발생하는 빗물이 일시에 복개하천으로 흘러들어 범람피해를 안겨주는 문제도 해결될 수 있게 됐다.
수성구청은 대구시의 범어천 생태하천 복원 사업에 보조를 맞춰 범어천 상류 수계 정비에 나섰다.
범어동 병풍산에서 발원하는 범어천은 범어·지산 택지개발사업이 시작된 1980년대 중반 이후 하수도 수준으로 오염되면서 대부분 구간이 복개된 상태다. 이에 따라 수성구청은 범어천의 상류 수계인 대덕지(면적 3만6천115㎡)의 용수확보를 위해 확장 공사를 한 데 이어 이달부터 홍수조절기능 정비공사에 들어갔다. 집중강우에 유속을 조절해 홍수를 막고, 평상시에도 물 확보가 가능해 범어천의 유수확보 및 수질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도심하천 개발 청사진되나?=범어천 복원이 대구의 하천 개발을 유도하는 청사진이 될 것인지 주목되고 있다. 대구의 소하천은 24곳. 그중 시내를 통과해 콘크리트로 복개가 이뤄진 곳은 범어천, 진천천, 달서천 등 3곳이다. 이들 하천 역시 인근 주민들의 요구 등으로 하천 개발 논의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실제 범어천의 경우 지난해 서울의 한 민간업체가 미복개 구간에 친환경 생태하천과 문화·상업기능이 조화된 복합공간 개발 제안을 대구시와 수성구청에 내기도 했다.
대구를 가로지르는 지역의 소하천이 생태하천으로 개발될 경우 여름철 고온으로 유명한 대구의 도심을 흐르는 생태하천은 도시의 기온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더운 도시 대구의 이미지도 벗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배광식 수성구 부구청장은 "지자체들이 생태하천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있는 만큼 여건만 된다면 친환경적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했다.
오염된 하천을 생태하천으로 개발하려는 구상은 세워뒀지만 그동안 막대한 개발 비용에 막혀 개발당위성을 찾지 못한 지자체들이 범어천 복원을 주시하면서 여론 수렴 등을 통해 구체적 개발논의에 들어갈 것이라는 기대도 크다.
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