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안전 담보 못하는 지자체 행사는 안 해야

9일 오후 경남 창녕군 화왕산 억새 태우기 행사에서 관람객 4명이 숨지고 60여 명이 부상을 입는 어이없는 참사가 일어났다. '화왕산에 불이 나야 풍년이 들고 재앙이 물러간다'는 전설에 따른 억새 태우기 행사가 災殃(재앙) 그 자체로 돌변한 데 대해 안타까움을 넘어 분노를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인명이 희생되는 사고가 일어날 때마다 되풀이되는 지적이지만 이번 참사 역시 人災(인재)라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행사를 주최한 창녕군은 억새평원과 등산객과의 간격인 방화선을 30~50m로 유지했다고 밝혔지만 일부 등산객은 방화선이 10m도 안 된 곳도 있었다고 말한다. 그 때문에 갑작스런 역풍을 탄 불길이 관람객들을 덮쳤고 참사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야간에 1만6천여 명이 모이는 대규모 행사에 불과 110여 명의 안전요원으로 어떻게 불의의 사태에 대처하려 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

'화왕산 참사'를 보며 2005년 10월 상주에서 일어난 대형 참사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상주 자전거축제 행사의 하나로 열린 MBC '가요콘서트'를 관람하기 위해 입장하던 시민들이 인파에 떠밀려 11명이 사망하고 90여 명이 부상을 당했다. 2만여 명이 몰리는 행사에 안전요원은 130명에 지나지 않은 전형적인 인재 사고였다.

사고란 예고하고 일어나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우발적으로 일어나는 것도 아니다. 그 전말을 분석해보면 반드시 인과 법칙에 따라 원인이 있게 마련이다. 대부분은 안전의식 부재에서 오는 인재라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 지방자치제가 출범한 1994년 이전 280여 개이던 지방의 축제 및 행사가 최근엔 1천100여 개로 급증했다. 축제'행사의 내실을 다지는 것도 필요하지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것은 관람객 안전이다. 즐거워야 할 축제'행사장이 참사의 현장으로 돌변하는 후진국형 사고는 절대로 되풀이돼서는 안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