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선택요일제 참여않는 차량 시·군·구 주차장 출입금지령

▲ 승용차 선택요일제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공무원이 구청에 주차된 요일제 미참여 차량에 안내문을 배부하고 있다. 김태형기자 thkim21@msnet.co.kr
▲ 승용차 선택요일제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공무원이 구청에 주차된 요일제 미참여 차량에 안내문을 배부하고 있다. 김태형기자 thkim21@msnet.co.kr

대구시가 '승용차 선택요일제'를 추진하면서 다음달부터 미참여 차량의 공공기관 주차장 이용을 제한키로해 시민들과 마찰이 예상된다.

승용차 선택요일제(승용차 이용자가 월~금요일 중 하루를 정해 승용차를 운행하지 않는 제도)는 올해 1월1일부터 시행에 들어갔으나 시민들의 반응은 냉랭하다. 대구시와 각 구·군, 차량등록사업소 등은 지난해 12월부터 승용차 운전자의 참여 신청을 받고 있으나, 현재까지 1만6천여대만 참여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대구시에 등록된 승용차(10인승 이하 비영업용)가 65만3천여대인 점을 감안하면 참가율은 고작 2.5% 수준. 올 연말까지 15만대를 참여시키겠다는 시의 목표는 헛구호에 그칠 가능성이 커졌다.

그러나 시는 요일제 추진을 위해 차량에 붙이는 전자태그를 20만장이나 구입하는 등 10억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참여율 제고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특히 다음달부터 전자태그를 부착하지 않은 차량은 구·군청 주차장 출입을 허용하지 않을 방침이어서 민원인들의 불만이 터져 나올 가능성이 높다. 김창선(42·달서구 상인동)씨는 "사업에 필요한 각종 서류를 준비하느라 구청을 자주 드나든다"며 "요일제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구청 주차장 이용을 막겠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했다.

25일 대구의 한 구청 주차장을 둘러본 결과 100여대의 차량 가운데 요일제 전자태그를 부착한 차량은 단 두 대 뿐이었다. 한 구청 공무원은 "대구시가 강력 단속하라니 출입을 통제는 하겠지만 승용차 요일제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구청을 찾은 시민을 문전박대하기는 쉽지 않다"며 "텅빈 주차장에 차를 못 들어오게 막으려면 하루종일 시민들과 다퉈야 할 노릇"이라고 걱정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승용차 운행을 억제하고 대중교통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요일제 미참여 차량에는 페널티를 주고 참여 차량에는 자동차세 감면 등 인센티브를 주는 정책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