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공공주차장 유료화 '펑크날 판'

▲ 공공기관 주차장의 유료화 실시 첫날인 2일 오전 대구시청 주차관리요원이
▲ 공공기관 주차장의 유료화 실시 첫날인 2일 오전 대구시청 주차관리요원이 '유료 안내표지판'을 세워두고 승용차 운전자에게 유료주차권을 발급하고 있다. 정운철기자 woon@msnet.co.kr

대구시가 승용차 선택요일제 확대를 위해 시청 주차장을 유료화하고, 전자태그를 부착하지 않은 요일제 미참여 차량에 대해서는 구·군 주차장 출입을 통제키로 했지만 시행 첫날부터 암초에 부딪혔다. 홍보부족으로 곳곳에서 시민들과 실랑이가 빚어지면서 결국 당분간 차량 통제를 시행하지 않기로 하고 한발 물러섰다.

2일 오전 9시 대구시청 주차장은 여느 때와는 달리 한산했다. 전에는 없던 요금소와 차단기 앞에서 차량 운전자들은 당황해 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민원인들은 입구에서 1분여가량 요금제와 승용차 선택요일제에 대한 안내를 받은 후 주차장으로 진입할 수 있었다. 대구시는 민원인에게는 1시간까지 무료 주차를 허용하며, 초과시에는 10분당 500원의 요금을 징수한다.

여권 업무 차 시청을 찾았다는 김모(46)씨는 "관공서 주차장을 이용하는 데도 주차요금을 내야 한다는 사실이 마뜩잖다"며 "관공서를 드나들 일은 많지만 바쁜 사업일정 때문에 선택요일제 참여가 힘든 나 같은 사람은 앞으로 어떻게 민원업무를 처리하란 말이냐"고 언성을 높였다.

공무원들이 주로 주차했던 시청 주차장 남편 60여면의 주차공간도 텅 비어있기는 마찬가지였다. 유료화가 시행되면서 시청 공무원에 대해서도 하루 4천원의 주차요금을 받기로 했기 때문. 그 때문에 평소 오전 9시가 되면 꽉 찼던 주차장에는 20여대의 차량도 채 주차돼 있지 않았다. 한 공무원은 "한 달 9만원에 달하는 주차요금을 내기는 부담스럽지 않으냐"며 "시청 주차장 유료화로 인근 골목길의 불법주차가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여 걱정스럽다"고 털어놨다.

각 구·군청 주차장도 혼란을 겪기는 마찬가지였다. 출입 차량들을 상대로 부착 여부를 일일이 확인하기 쉽지 않은데다 방문객들과 곳곳에서 마찰을 빚었다. 이 때문에 각 구·군청은 전자태그가 없더라도 요일제 위반 차량만 아니면 출입을 막지 않는 상황이다. 한 구청 관계자는 "출입 제한 사실을 알지 못한 채 구청을 찾은 시민들과 실랑이가 벌어지면서 결국 오늘은 모든 차량을 통과시키기로 했다"며 "당장 차량 5부제 운행 위반 차량을 막기도 힘든 상황에서 전자태그가 뭔지도 모르는 시민들에게 이를 일일이 설명하고 출입을 제한하기는 어렵지 않으냐"고 푸념했다.

이에 따라 각 구·군은 전자태그 부착률이 궤도에 오를 때까지 당분간 기존 방식대로 주차장을 운영할 계획이다. 달서구청의 경우 오는 7월 주차장 유료화시기에 맞춰 전자태그 부착률을 끌어올린 뒤 주차관제시스템이 도입되면 전자태그 미부착 차량의 출입을 통제할 방침이다. 남구청은 당분간 홍보에 주력하면서 다른 자치단체의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승용차 운행을 억제하고 대중교통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정책"이라며 "당분간 혼란이 불가피하겠지만 제도 정착을 위해 시민들이 조금씩만 불편을 감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사회1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