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자동차 강국 코리아, 과연 부품 산업은?'

KBS1 시사기획 쌈 10일 오후 10시

지난 2007년 9월 현대자동차 베라크루즈 6천여대가 리콜됐다. 이유는 정면 충돌시 연료펌프 상단의 뚜껑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에 결함이 생겼기 때문. 2008년 11월 기아자동차 모닝은 주행 중 시동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해 14만여대의 부품을 교체해야만 했다. 유사 연료가 구리 소재의 연료펌프 정류자와 산화 반응해 전기가 통하지 않아 시동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했기 때문. 2007년 5월에는 GM대우 윈스톰 1만여대가 리콜됐다. 이들 모두 2차, 3차 납품업체에서 만든 작은 부품의 결함에서 발생했다. 왜 이런 불량 부품들이 생산되는 것일까? KBS1 '시사기획 쌈'은 10일 오후 10시 '국산차 대(大)해부 부품 산업이 녹슬고 있다'편을 통해 부품산업에 대해 알아본다.

2003년 공정거래위원회가 불공정 거래로 규정한 '납품 단가 인하 강제조정'은 아직도 관행처럼 계속되고 있다. 실제로 해마다 납품 단가가 3% 이상 조정되고 가격 조정은 품질로 이어진다. 국산차와 외제차의 부품 품질을 범퍼 레일 충격 실험과 핵심 소재 부품의 강도와 경도 테스트를 해 비교한 결과, 10배 정도의 현격한 차이로 국산 부품의 품질 저하 문제가 드러났다. 정작 소비자는 비싸게 부품을 구입하지만 납품업체가 쥐는 돈은 보잘것없다. 엔진 부품 중 하나인 로커암을 2차 하도급업체가 1차 하도급 업체에 납품하는 가격은 400원대. 그리고 1차 하도급 업체가 자동차 제조사에 납품하는 가격은 1천200원이다. 그리고 소비자가 구입하는 가격은 8천원 선. 이렇게 해서 가격 차이는 7배가 넘는다. 체인지 레버의 경우는 자동차 제조사에 납품하는 가격이 1만7천원 대이고 소비자가 구입하는 가격은 7만3천원으로 4배가 넘는다. 지난 2009년 1월,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모터쇼에서는 현대자동차의 제네시스가 올해의 자동차로 선정되는 쾌거를 올렸다. 그러나 세계 부품사들이 참석한 이 전시장에는 한국 부품업체가 단 한 곳도 없었다. 이유는 상용화가 가능한 원천 기술이 없기 때문. 자동차 생산량은 세계 5위지만 세계 100대 부품 회사 중 한국 회사는 현대모비스 등 단 2곳에 불과하다.

김수용기자 ks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