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29일 주민 직선으로 치러지는 경북도교육감 보궐선거가 40여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선거분위기가 극도로 침체돼 '그들만의 리그'로 전락하고 있다. 첫 주민 직선제 교육감이라는 기대 속에 예비후보자들이 표심을 얻기 위해 연일 총력전을 펼치고 있지만 정작 유권자들은 무관심으로 일관해 선거분위기가 좀체 살아나지 않고 있는 것.
도 교육감선거는 김철 전 경북도교육청 부교육감, 유진선 대경대 총장, 이영우 전 경북도교육청 교육정책국장(가나다 순)이 일찌감치 예비후보등록을 마치고 선거전에 나서고 있다. 이들은 연일 도내 곳곳을 돌고 있지만 주민들의 반응은 냉담하기 짝이 없다. 예비후보들은 정책·공약은커녕 얼굴 알리기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선거운동을 위해 군청을 찾았던 한 예비후보는 "공무원들조차 '우리도 투표권이 있나요?'라고 반문할 때는 맥이 풀렸다"며 "주민 직선제는 교육주권을 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에게 돌려주는 큰 의미가 있는 만큼 유권자들의 관심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이 같은 선거 냉담 분위기는 도교육감 선거를 주민 직선으로 치르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많은데다 선거 자체에 대한 관심부족 때문이다. 지금까지 치러진 교육감 직선제 투표율은 부산 15.3%, 서울 15.5%, 충남 17.2%를 기록해 평균 50%대를 넘나드는 국회의원선거나 자치단체장 선거에 비해 턱없이 낮다. 이 때문에 1년 2개월 임기의 도교육감을 뽑는 데 130억원의 '혈세'를 쓸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제한된 선거운동규정도 후보자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예비후보자의 경우 배우자와 선거운동원 1명에 한해 명함 등을 배포할 수 있고 우편홍보물 역시 전체 가구의 10% 범위 안에서만 배포하도록 돼 있다. 또 예비후보들이 모호한 선거규정에 대해서는 가급적 몸을 사리고 있어 등산로, 교회, 공원 등에서 명함을 돌리는 산발적인 선거운동만 펼치고 있다.
부족한 선거자금 역시 걸림돌이다. 모 예비후보 관계자는 "국회의원·단체장 선거와 달리 도교육감 선거는 후원회를 결성할 수 없어 각 선거캠프는 벌써부터 자금난을 겪고 있다"고 했다.
한편 한나라당은 내년 지방 선거에 광역단체장과 시·도교육감 러닝메이트제를 도입해 동시에 치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유권자들의 관심도가 떨어지는데다 선거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든다는 판단 때문이다. 일부 국회의원들은 간선제로 환원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최창희기자 cch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