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교복문제 해결, 학교와 교육청이 나서라

경주의 교복 대리점들이 학생들에게 금품과 향응을 제공하며 판촉에 이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고생 40여 명에게 교복 판매에 따른 수당을 주고 수시로 술까지 사줬다는 것이다. 이렇게 돈과 술을 받아 먹은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에게 특정 대리점 교복을 사도록 해 50만~80만 원의 수당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신학기 때마다 불거지는 교복문제는 새로울 것이 없는 잡음이다. 제조사와 대리점의 담합에 의한 값 올리기는 기본이고, 부산에서는 학교 폭력서클까지 동원한 대리점 업주가 적발되기도 했다. 폭력학생의 강요에 못 이겨 이미 구입한 교복을 반품하고 특정 대리점에서 교복을 산 학생들도 있다 한다. 심지어 교복 물려주기를 막기 위해 대리점이 헌 교복을 싸게 구입해 곧장 폐기 처분하는 사례도 있다 하니 常軌(상궤)를 이만저만 벗어난 게 아니다.

물론 교복 공동구매나 교복 물려주기 운동도 활발하다. 대구 달서구청이 지난해 11월 시작한 '스마일링 교복 나누기'가 대표적이다. 구청이 시민들로부터 교복을 기증받아 수선한 뒤, 20만~30만 원대의 교복을 1만~3만 원으로 재판매해 큰 호응을 얻었다.

이 기회에 교육 당국은 중고생 교복 문제에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겠다. 교육청이 나서 교복 물려주기 운동을 상례화하고 학교가 이를 실천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여건상 실천이 어려우면 공동구매 창구를 마련해 학생과 학부모들의 부담을 줄이면 된다. 한국교복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의 교복 공동구매율(동복 기준)은 11% 선으로 서울 55%, 광주 46% 등에 비해 크게 낮다. 학교와 교육청이 적극 나서야 하는 이유다. 특히 폭력학생들이 개입해 특정 대리점 교복 구매를 강요하는 것만큼은 막아야 한다. 더 이상 제조사와 대리점의 장삿속에 우리 아이들이 멍드는 일은 없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