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춘추]사랑은 있어도 사랑이 없다

곽흥렬(수필가)
곽흥렬(수필가)

무엇이든 너무 흔하면 값어치가 떨어진다. 금값이 비싸고 고려청자가 가치가 있는 것은 그것이 귀하기 때문이다. 다이아몬드가 모래처럼 지천이라면 누가 거들떠보기나 할까.

세상 이치가 다 그런 것 같다. 아무리 좋은 것일지라도 넘치면 천박해진다. 우리의 사랑도 바로 그렇지 않은가 한다. 요즘 대중가요 가사에 어디 '사랑' 들어가지 않은 것이 있던가. 썼다 하면 사랑 노래요, 불렀다 하면 사랑 타령이다.

비단 노래에서뿐이 아니다. 눈에 뜨이는 게 사랑이며 발에 차이는 게 사랑이다. 사랑의 집이니 사랑산부인과니 아이 사랑 사진관이니 교통사랑봉사대니……, 심지어 시사랑이니 수필사랑까지 있고 보면 더 말해 무엇하랴.

114에 전화번호를 문의하면 '사랑합니다, 고객님'이라는 멘트가 나온다. 누군가 그 인사말을 듣고 정말 자신을 사랑하는 줄 알고 연애를 걸어왔다는 사연을 들은 적이 있다. 참으로 웃지 못할 일화가 아닌가.

이처럼 넘쳐나는 것이 사랑이건만, 정작 세상엔 사랑이 메말라 버렸다. 이 아이러니를 과연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말 따로, 마음 따로다. 말이 앞서면 진실성이 없어진다. 그래서 그 허식을 감추려고 다시 말을 앞세운다. 이것은 악순환을 부른다. 그래서일까, 서양 사람들은 달아나려는 사랑을 붙들어 두려고 입에다 '아이 러브 유'를 달고 사는가 보다. 그들은 하루에 열번도, 스무번도 더 '사랑한다'를 속삭인다.

새는 울어/ 뜻을 만들지 않고

지어서 교태로/ 사랑을 가식하지 않는다.

-박남수의 시 '새'에서-

이것은 단순한 새에 관한 노래가 아니다. 바꾸어 읊으면 '사람은 울어 뜻을 만들고 지어서 교태로 사랑을 가식한다'쯤 되지 싶다. 결국 시인은 인간의 가식적인 사랑에 대한 우의적인 풍자를 이렇게 노래한 것이리라.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세대는 일평생 사랑한다는 말 한마디 하지 않고 살았다. 그러면서도 잘 사랑하며 슬기롭게 가정을 건사해 오셨다. 꼭 말로 해야만 사랑이 되는 것일까. 말로 하는 사랑보다 눈빛으로 하는 사랑이, 눈빛으로 하는 사랑보다 가슴으로 하는 사랑이 참된 사랑이라고 생각한다. 말보다는 눈빛이, 눈빛보다는 가슴이 더 따뜻하고 진실되기 때문이다.

이 사랑이 넘쳐나는 세상에서 잃어버린 사랑이, 그 참사랑이 못내 그리워진다.

곽흥렬(수필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