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동해-일본해 병행 표기' 캠페인을 노골적으로 방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뉴욕주재 일본 총영사관이 최근 뉴욕시 교육감에게 동해 병행 표기에 반대하는 공문을 보낸 사실이 뒤늦게 확인된 것이다. 이 총영사관은 지난 4월에도 한인단체의 독도 캠페인에 대해 "역사적으로 독도의 영유권이 일본에 있다"는 주장을 뉴욕타임스 인터넷판에 게재하는 등 역사왜곡에 앞장서 왔다.
미국 공립학교 교과서를 대상으로 동해 병기 캠페인을 펼치는 뉴욕학부모협의회 등 한인사회는 일본 정부의 부당한 압력 행사에 공분하고 있다. 민간단체의 캠페인에 반대해 일본 정부가 비밀리에 외국 교육 당국을 회유'압박하는 것은 묵과할 수 없는 일이다. 게다가 일본 총영사관이 공문에 적시한 반대 이유를 보면 또 다른 역사왜곡이라는 점에서 비판받아 마땅하다.
공문은 "동해로 표기를 변경하거나 일본해-동해로 표기하자는 주장은 역사적 근거를 무시한 것"이라는 주장을 폈다. 한마디로 터무니없는 궤변이다.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조선해' '동해'가 더 보편적인 표기라는 것은 당시 지도를 보면 명백히 드러난다. "전 세계에 알려져 있는 명칭을 갑작스럽게 아무런 이유 없이 바꾸면 불필요한 국제적 혼동을 준다"는 일본의 논리는 타당성이 전혀 없다. 또 "표기 변경은 공중'해상교통의 위험을 불러와 국제적 이익에도 반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는 주장은 해괴하다 못해 우습기까지 하다. 한국이 '한국해' 단독 표기를 고집하지 않고 병기하자는데 왜 위험을 부르고 국제적 이익을 해치는 것인지 알 수 없다. 이는 병기에 따라 일본이 입게 될 타격을 국제적 이익 운운하며 호도하는 짓이다.
동해 병기 문제를 국제사회에 처음 제기한 1992년 당시 각국 지도나 교과서'사전 등에 '동해-일본해' 병행 표기는 1%에도 미치지 못했다. 하지만 2007년 기준 세계 상업용 지도에서 동해 병기 비율은 24%까지 증가했다. 브리태니카사전이나 프랑스 대백과사전도 개정했고, 미국의 3대 교과서 출판사들도 2008년판 교과서부터 '일본해' 단독 표기를 철회했다.
이는 주권국들이 공유한 바다는 대륙 등의 이름을 따르는 국제관례에 비춰볼 때 병기론이 타당하다는 국제사회의 인식이 모아졌기 때문이다. 일본의 주장처럼 '일본해'는 결코 공식 용어가 아니다. 정부는 더 이상 일본 정부가 방해를 하지 못하도록 적극 대처하고 미주 한인사회의 캠페인에도 적극 호응해 문제 제기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아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