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첨복단지 6월말 최종결정…시·도지사 진두지휘를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를 위해 대구경북과 경쟁하고 있는 충북 오송의 경우 지역 관계자들에게 유치 당위성을 알리는 홍보메일을 발송하고 입지선정 평가위원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전국의 각계 전문가를 대상으로도 적극적인 홍보전을 펼치고 있다.

대구경북도 최근 서울역 광장에 사면에서 보이는 '대구 메디시티(Medi-City)' 홍보 전광판을 가동, 전국에서 오가는 이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들려오는 각계의 반응이 아주 호의적이라고 한다.

이처럼 대구경북은 물론 충북 오송 등 10여개 지자체는 향후 먹을거리 산업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있는 의료산업 육성을 위해 의료복합단지 유치에 명운을 걸다시피하며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이미 발표한 10개 대분류 평가기준에서 주거·의료·교육·환경 등 정주여건, 우수 의료연구개발기관 집적도 및 입주계획, 의료단지 부지확보 및 확장 용이성과 토지보상 진척도, 의료복합단지 유치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 등 24개로 세분화한 평가기준을 11일 공개했다. 의료단지 입지결정은 의약품, 의료기기, 의료서비스, 국토계획 분야 전문가 240명의 풀 가운데 무작위로 뽑힌 60명이 평가를 하고 이를 토대로 국무총리실 산하 첨단의료복합단지위원회가 6월 말 최종 결정한다.

평가지표 가운데 연구소나 생산공장 등 연구개발기관이 해당 지역에 있더라도 본사 소재지가 그곳에 없으면 평가대상으로 분류하지 않는 점도 대구경북으로서는 나쁘지 않은 기준이다. 또 입지후보지 소속 기초지자체, 광역지자체, 연계 광역지자체가 공동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한 것도 대구경북의 고민을 덜어 주는 부분. 각 대학별로 의약 및 의료기기 관련 대표논문 5개씩을 효과분석과 함께 제출토록 한 것도 지역으로 봐서는 결코 불리하지 않은 요소다.

지역 전문가들은 대구경북이 마지막에 웃기 위해서는 오는 6월 9일 의료단지 평가자료 제출시한까지 남은 한달 동안 고삐를 바짝 죄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대구시·경북도 관계자들은 "다른 시도는 의료단지를 위해 대구경북보다 더 빨리, 더 오랫동안 준비해왔다.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된다"며 "시도는 물론 각계 전문가들이 남은 한달 동안 전력질주해야만 유치를 기대할 수 있다"고 했다.

이제 그야말로 시간과의 싸움이다. 한달 만에 수만페이지에 이르는 평가자료를 정교하게 만들고 설득력 있는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관계 기관들의 협조와 적극적인 참여가 절실한 실정이다. 특허나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자료만 수천건에 달해 관계 기관들의 자발적인 협조가 요구된다는 것.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김범일 대구시장과 김관용 경상북도지사, 각 대학 총장들이 협력하지 않을 경우 완벽한 평가자료 작성이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대구경북연구원 관계자는 "평가지침만 1천 페이지에 이를 정도로 자료작성이 방대한 양이다. 수십여개 기관이 관련되고 세부평가 항목마다 제출자료가 엄청난 만큼 관계 기관들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어야만 충실한 평가자료 작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