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SOC 투자는 KTX 교통축과 연계해야"

SOC분야는 앞으로 KTX 교통축 중심의 연계교통체계에 우선 투자돼야 하며, KTX 역세권을 고급 서비스가 집적된 만남과 경제의 중심지로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한 역세권 개발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이 필요하다는 지적들도 잇따랐으나, 수립 주체에 대해서는 중앙정부와 지자체로 갈렸다.

14일 대한상의에서 한국교통연구원 주최로 관련 전문가와 지자체 공무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KTX 역세권 특성화 개발 정책토론회'에서 오재학 한국교통연구원 종합물류연구본부장은 이 같은 의견을 제시한 뒤 "지역내 부존자원과 잠재력을 활용한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전국을 상대로 하는 마켓팅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역세권 개발은 지자체와 민간 주도로 추진하되 중앙 정부도 법·제도 정비, 연계교통시설 지원, 지역간 특성화역할 조정 등을 맡는 등 중앙정부와 지자체간의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교통혼잡이 없는 쾌적한 생활공간화 하기 위해 역사부지와 반경 500m 이내 역세권에는 주차장 설치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

역세권 개발 종합계획의 수립 주체에 대해서는 국토해양부 산하에 'KTX 역세권 개발 지원단'을 신설, 이 기구 주도로 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구자훈 한양대 교수는 "역세권 개발 종합계획은 철도역사 개발과 주변지역 개발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추진돼야 하며, 지자체의 책임아래 수립하는 것을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고 맞섰다.

또 "철도연접 부지에는 복합고밀개발을 허용하는 입체복합 용도지역을 지정토록 하는 등 신용도지역 지정체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시곤 서울산업대 교수는 "기존의 격자형 철도망을 KTX역을 중심으로 방사형 교통연계체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봉대기자jinyoo@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