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조선환여승람' 쌍석불, 영천 임고면 암자서 확인

▲ 영천 임고면 효리의 쌍석불. 왼쪽은 약사여래불로 추정된다. 민병곤기자
▲ 영천 임고면 효리의 쌍석불. 왼쪽은 약사여래불로 추정된다. 민병곤기자

1910~1937년까지 인문지리 현황을 담은 국내 최대의 지리서 '조선환여승람' 영천편에 나오는 쌍석불이 실제로 영천 임고면 효리의 한 암자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쌍석불은 높이 140㎝에 가로 폭 65㎝의 좌상과 입상으로 코부분의 마모 정도가 심하지만 전체적으로 풍만하고 온화한 자태를 간직하고 있다.

좌상은 왼손에 약합을 든 형태의 약사여래불로 추정되며 협시보살로 보이는 입상은 경북 남쪽지역에선 보기 드문 형태로 평가되고 있다. 이 쌍석불은 최근 암자가 위치한 땅(1천586㎡·약 480평)이 매물로 나오는 바람에 팔려나갈 처지였으나 통도사 영천포교당인 용화사 주지 지봉 스님이 매입하면서 보존될 수 있었다. 지봉 스님은 암자 계단을 수리하던 중 나온 6세기 중반의 단경고배, 연화문양이나 범어 '옴'자가 새겨진 와당, 토기류 등도 수습해 따로 보관하고 있다.

쌍석불을 둘러본 경북문화재연구원 이동철씨는 "석불의 연대는 정밀조사를 거쳐야 정확히 알 수 있지만 약사여래불은 형태나 문양으로 볼 때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모두 문화재 가치가 충분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조선환여승람' 영천군 고적편은 이와 관련 '임고면 효동 후산 신라시 조성 쌍석불'로 기록하고 있다. 영천·민병곤기자minb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