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환율급락으로 지난달 수출입 물가가 11년만에 최대폭으로 떨어졌다. 수출물가 하락은 기업들의 채산성을 크게 악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4월 수출입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물가는 전월보다 6.0% 내렸다. 이 하락폭은 1998년 12월(-7.2%) 이후 최대다. 부문별로는 농림수산품이 7.8%, 공산품이 6.0% 각각 하락했다.
냉장고의 수출물가가 전달보다 11.1% 떨어졌고 중형승용차 3.0%, 자동차부품 16.2%, TV 수상기 9.2%, 무선전화기 9.4% 등의 하락률을 나타냈다.
환율이 비정상적으로 올라갔다가 갑자기 내려오는 바람에 수출가격이 빠르게 하락한 것으로 한국은행은 분석했다.
수입물가 역시 전달보다 7.8% 떨어져 1998년 4월(-9.1%) 이후 최대의 하락폭을 보였다. 원자재는 7.1% 내렸고 중간재와 자본재는 각각 8.3%, 소비재는 6.0% 의 비율로 떨어졌다.
중간재 중에서는 철강1차 제품의 가격이 많이 내렸다. 냉연강판이 43.8% 폭락했고 강관 12.6%, 도금강판 17.3%, 형강 14.6%, 선철 7.0% 등의 비율로 내렸다. 철강제품 가격하락은 환율 뿐 아니라 세계경기 침체의 효과도 입은 것으로 한국은행은 풀이했다.
수입되는 소비재 가운데 TV수상기는 10.3% 떨어졌고 프린터 14.5%, 프로판가스 22.9%, 쇠고기 10.4% 등의 비율로 내렸다. 반면 중형 승용차는 7.4%, 대형 승용차는 14.4% 각각 올랐다. 최경철기자 koala@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