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이 추락한 봉하마을 뒷산은 높이 137m의 야트막한 산이다. 이름은 마을 이름과는 달리 봉화산(烽火山)이다.
노 전 대통령은 봉화산 꼭대기에 있는 '사자바위'로 올라가던 중 낭떠러지에서 추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퇴임 후 고향에 머물렀던 노 전 대통령이 매일 아침 사색을 하며 산책을 했던 바로 그 장소에서 마지막 숨을 거둔 것이다.
봉화산 꼭대기 사자바위까지 올라가려면 걸어서 20여분가량 걸린다. 산 중턱쯤 위치한 마애불과 호미든 관음개발성상을 지나면 길은 낭떠러지를 따라서 가파르게 올라가야 한다. '사자바위'에서는 노 전 대통령이 머물렀던 봉하마을 사저는 물론이고 드넓은 김해평야까지 한눈에 들어온다.
바위에 올라 밑을 내려다보면 30여m 아래에 소나무 숲이 나타난다. 노 전 대통령은 이곳에서 추락했다.
하지만 노 전 대통령에게 봉화산이 늘 편안하기만 했던 것은 아니다. 노 전 대통령은 한 달전 쯤인 4월 21일 '저의 집 안뜰을 돌려주세요'라는 언론을 향한 호소문을 올린 바 있다. 봉화산 꼭대기 사자바위에 늘 설치돼 있는 언론의 카메라에 시달리다 못해 "최소한의 사생활이라도 돌려달라"고 그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호소하기도 했다.
노 전 대통령은 홈페이지 글에서 "방안에서 비서들과 대화하는 모습, 마당을 서성거리는 모습 등이 모두 국민의 알 권리에 속하는 것이냐"고 반문하고 "걸으면서 먼 산이라도 바라볼 수 있는 자유, 최소한의 사생활이라도 돌려달라"고 언론에 당부했다.
봉화산은 고대인들이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사터와 조선시대 봉화를 올리던 봉화터가 있었던 곳으로, 봉하마을은 '봉화산(烽火山) 봉수대 아래 있는 마을'이라고 해서 '봉하(峰下)마을'로 이름붙여졌다.
한윤조기자 cgdrea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