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 의미는 '화합'이다. 정부와 노무현 전 대통령 측은 국민장을 결정하기까지 예상치 못한 잡음을 빚었지만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국민 화합'의 장으로 승화시키자는 데 뜻을 같이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3일 오후부터 노 전 대통령 측에 국민장을 권유했지만 의견 수렴에 오랜 시간이 걸렸다. 이해찬·한명숙 전 총리와 문재인·이병완 전 청와대 비서실장 등은 24일 새벽까지도 국민장에 대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노 전 대통령 측에서는 국민장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만만찮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권양숙 여사와 친지들이 가족장을 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노 전 대통령이 유서에서 "화장해라. 집 가까운 곳에 아주 작은 비석 하나만 남겨라"고 썼기 때문이다. 노 전 대통령 측근에서도 서민적 이미지가 강한 고인에겐 가족장이 걸맞다는 의견이 나왔다고 한다. 일부 인사들과 노사모(노무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는 '민주 국민장'을 주장하기도 했다. '국민장' 형식을 취하되 정부 참여를 배제하자는 움직임이었다.
장례 형식 문제가 지체되면서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당 회의에서 "유족들이 국민장을 받아주셨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명박 대통령도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깊은 애도를 표하며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에 어긋남이 없도록 정중하게 모시라"고 지시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노 전 대통령 측에서도 시간이 지날수록 "전직 대통령의 예우를 감안할 때 국민장이 적합하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기 시작했다. "국민이 뽑은 대통령이었고 국가와 국민을 위해 일했던 분"이라는 목소리였다. 무엇보다 노 전 대통령의 장례가 분열이 아닌 사회통합의 계기가 돼야 한다는 분위기가 공감대를 형성했다. 고인의 평생 정치 화두가 '지역주의 극복'과 '국민 통합'에 있었다는 점을 반영해야 한다는 공감대였다.
이에 따라 문 전 실장은 24일 오후 정부 측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과 국민장을 포함해 주요 장례 절차를 공식 합의했다. 천호선 전 청와대 홍보수석은 "내부적으로 여러 의견이 있었지만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를 갖추는 한편 가족장보다 더 많은 국민이 참여하고 참배할 수 있기 때문에 국민장을 하기로 했다"며 "유가족의 고민 어린 결정이라는 점을 이해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