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與·野 일촉즉발 재격돌 모드로

정치적 발언을 자제해 왔던 여야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결식 이후 다시 정면으로 맞설 분위기다. 노 전 대통령 서거 분위기를 의식해 서로에게 겨냥한 총구를 잠시 거둬들인 정치권이지만 한나라당의 '소요 사태 우려' 발언이 도화선이 돼 끓고 있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27일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고위당정회의에서 "국민장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변질시켜 소요 사태가 일어날지 정말 걱정"이라며 "정부에서 국민장을 무사히 잘 마칠 수 있도록 모든 경계를 잘해달라"고 요청했다. 한나라당은 그동안 대책의 '대'자도 꺼내지 말자며 바짝 낮췄으나 민주당이 '장례 정치'를 한다는 일각의 지적에 결국 참지 못한 셈이다.

발언이 알려지자 야당의 벌떼 공격이 시작됐고, 국민장 이후 다시 따질 것을 결의했다.

한나라당 일각에선 "터질 것이 결국 터지고 말았다"는 반응이다. 한나라당은 노 전 대통령의 추모 열기가 고조되자 위기감을 느꼈던 게 사실이다. 추모 열기가 영결식을 전후해 이명박 정부에 대한 비판과 항의로 표출되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특히 애도 기간 중 북핵이라는 매머드급 사건이 일어났지만 추모 열기에 묻히자 "전쟁 일촉 즉발 상황인데 국민들이 너무 무감각하다"며 고개를 갸우뚱하는 의원들도 있다.

민주당은 공세의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기자회견을 자청해 "제기 보기에도 분명 책임져야 할 사람들이 있는데 책임지지 않는다"며 "이는 잘못된 것"이라고 정부 책임론을 제기했다. 안 한나라당 원내대표의 '소요 사태 우려' 발언을 겨냥해 정 대표는 "오늘 특정 정치 집단에서 나온 얘기를 보면 겉은 국민장을 얘기하면서도 속으론 딴 생각을 하고 있지 않느냐는 의구심이 가는 처신을 하고 있다"며 "이 또한 참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비난했다.

이런 가운데 야권은 다음달 8일쯤 개회가 예고된 6월 임시국회에서 비정규직법, 미디어법 싸움 준비를 하고 있다. 추모 열기의 힘을 빌어 'MB악법'으로 규정한 법안을 틀어막겠다는 것이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