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韓水原 이전지 결단의 마지막 機會

慶州(경주)시장, 시의회의장, 출신 국회의원, 韓水原(한수원'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 관계자 등 4명이 며칠 전 모여 한수원 본사 이전지 문제 처리 방향을 최종 정리했다. ▷西慶州(서경주) 시가지로의 이전지 변경을 한번 더 추진하되 ▷東慶州(동경주)에 인센티브를 주도록 하며 ▷그쪽 동의를 얻지 못할 경우 더 이상 고집 않고 ▷최대한 빨리 동경주로 최종 확정한다는 게 내용이다. 3년 이상 끈 갈등이 드디어 매듭지어질 시점에 도달했는가 싶다.

돌이켜보면 이 문제는 2005년 11월 2일 방사성폐기물처리장의 경주 유치가 확정되면서 곧바로 떠올랐던 걱정거리다. 관련 법률에 의해 한수원 본사도 4년 이내 옮겨와야 하지만 경주시내 어느 곳으로 이전할 것인지를 두고 이견이 심각했기 때문이다. 바닷가 쪽 동경주에선 방폐장 인근 주민 안전 보장을 위해 그곳이 立地(입지)가 돼야 한다는 반면, 경주시청 등은 시가지로 옮겨와야 이전 효과가 지역에 온전히 보전될 수 있다는 입장이었던 것이다.

이견은 급기야 2006년 8월 들면서 행동으로 폭발하기 시작, 12월 최고조에 달했다. 법정기간 내 이전을 마치려면 2006년 말까지 대상지를 결정해야 한다는 시한에 쫓기게 된 뒤끝이었다. 이 갈등은 그해 12월 말 한수원 측의 이전지 결정 선언으로 한고비를 넘기는 듯도 했으나, 2008년 4월 총선 과정에서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한수원 측이 사무실은 동경주에, 직원들 주거지는 서경주에 배분해 무마하려 했으나 국회의원 후보들이 본사 입지 서경주 변경을 공약해 다시 불을 붙인 것이다. 갈등은 그 일 년 만인 올 4월에 치러진 국회의원 재보선을 틈타 또 재발하기도 했다.

이런 점에서 관계자들의 며칠 전 태도 정리는 때늦었으나 성과가 기대되는 일이다. 내년 7월로 닥쳐 와 버린 이전 시한에 몰린 선택이긴 하겠으나 더 이상 끌어 좋을 문제도 아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한번 더 제안해 보고 또 거부당하면 더 이상 거론 않고 기존 결정에 승복하기로 한 것도 잘한 선택이다. 이전 효과가 비록 크다고는 하나 시민 화합보다 더 중요한 가치일 수는 없기 때문이다.

노력해 찾는다면 동경주와 서경주가 바라는 바를 모두 충족시킬 방안이 없지도 않을 것이다. 이쯤에서 대치를 종결짓고 모두가 승자가 되는 길을 함께 찾아 나서는 게 옳다. 가능한 한 빨리 갈등을 마무리지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